지명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49

한자 : 地名
영어 : place name
영어 : toponym

X01 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이름 (명칭) [name]

N1:종류

hasKind (종류)

 

 

법제 지명 ()

hasKind (종류)

 

 

전래 지명 () [ 傳來地名 ]

hasKind (종류)

 

 

자연 지명 () [ 自然地名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도로명 [ 道路名 ]

hasKind (종류)

 

 

인문 지명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종지명 호칭 () [ 從地名呼稱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순창군 () [ 淳昌郡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지형도 [ 地形圖 ]

19세기 전후 서양선교사들의 ‘粵方言 학습교재’에 나타난 近代 월방언 어휘의 특징

중국언어연구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白頭山·天池 地名에 대한 일고찰: 韓·中 지명표기를 중심으로

Baekdusan Mountain and Cheonji Lake: A Study on the Use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China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

白頭山·天池 地名에 대한 일고찰: 韓·中 지명표기를 중심으로

Baekdusan Mountain and Cheonji Lake: A Study on the Use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China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

響山 詩 飜譯의 難解性

Difficulties in Translation of Hyang San's Poem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해동고승전』 각덕‧지명전 연구

A Compilation of Gakdeok Chon, a Part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해동고승전』 각덕‧지명전 연구

A Compilation of Gakdeok Chon, a Part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골’, ‘山’, ‘들’에 準據하여 生成된 ‘내[川]’의 名稱에 대하여

On the Names of ‘Nae[川]’ Generated on the Basis of ‘Gol,’ ‘San,’ ‘Deul’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남 영광 지역의 해안사구 지형 특성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Dune in Young Gwang, Jeonnam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지명’과 ‘길’로 읽는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과 변천 - 일제강점기와 그 전ㆍ후 시기를 중심으로 -

Reading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서남해안 옹기점 분포와 옹기뱃길에 대한 민속학적 접근

A Folklore Approach on the Distribution of Onggi Spots and the Waterway of Onggi in the Southwestern Coast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Building Database with Digital Dongyeo and Web-based Old Map Service

문화역사지리 | 24 | 1 | 2012 | 인문지리학

국어의 형태소 분석에 대한 일고찰(1) -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1) - For Proper Nouns -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商代 갑골문에 보이는 ‘東’ 字素 字形 연구- 東夷 관련 고문자 텍스트 DB 구축 과정의 일환

商代甲骨文里面 ‘东’字素字形的研究 ―有关东夷的古文字资料库建设工作之一

중국어문논역총간 | 28 | 2011 | 중국어와문학

‘고맙다’의 문화기호론

A Study of ‘Gomapta’ and Bear Totem

仙道文化 | 8 | 2010 | 기타철학일반

≪高麗史≫<食貨志> 漕運 條 所載의 몇몇 地名에 대하여

About some place name in Korye-sa(高麗史) ‘Joun(漕運)’ article

지명학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史≫<食貨志> 漕運 條 所載의 몇몇 地名에 대하여

About some place name in Korye-sa(高麗史) ‘Joun(漕運)’ article

지명학 | 16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갓/것’(物) 語彙의 語源과 의미 기능 -‘항것’(主人)과 관련하여-

A Study on the Korean Words ‘gat/gət’(物) of Etymology and Meani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의 언어 민속지-전라남북도 편≫에 대하여

A Review of ≪Linguistic Ethnography of Korea-Linguaculture of Jeolla Province≫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유교·불교·풍수 지명을 중심으로

Ideological Signization of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onfucian/Buddhist/Fengshui Place Names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유교·불교·풍수 지명을 중심으로

Ideological Signization of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onfucian/Buddhist/Fengshui Place Names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위원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일본식 지명연구 : 미국 군사지도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Japanese Place Names in Google Earth Images and GeoNames Database from the Perspective of Linkage with Topographic Maps Published by Army Map Service

한국지도학회지 | 11 | 2 | 2011 | 지도학

高速鐵道 驛名 制定의 經過와 課題

The Problem in the Process of the naming of the KTX station

지명학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速鐵道 驛名 制定의 經過와 課題

The Problem in the Process of the naming of the KTX station

지명학 | 16 |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 쁘리모리예(연해) 주의 지명연구 - 강과 하천을 중심으로

Научные исследование по русской гидрономии Приморья (О названиях гидрономов)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 쁘리모리예(연해) 주의 지명연구 - 강과 하천을 중심으로

Научные исследование по русской гидрономии Приморья (О названиях гидрономов)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重庆诸称谓的语源

The Etymology of Names for Chong Qing

인문연구 | 65 | 2012 | 기타인문학

‘서울’ 중국어표기 정정을 둘러싼 소통의 문제

围绕‘서울(首尔)’汉语译名更正的沟通问题

중국어문논역총간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서울’ 중국어표기 정정을 둘러싼 소통의 문제

围绕‘서울(首尔)’汉语译名更正的沟通问题

중국어문논역총간 |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日本의 温泉旅館名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日本の温泉旅館名

일본문화연구 | 36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本의 温泉旅館名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日本の温泉旅館名

일본문화연구 | | 36 | 2010 | 일본어와문학

『朝鮮王朝實錄』に表記されている日本音漢字表記について

A Research on The Japanese Sound Correspondences for Chinese character in th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일어일문학 | 55 | 2012 | 일본어와문학

『大東輿地圖』 白頭山-豆滿江 일대에 표시된 몇 가지 地名의 검토 -國境認識, 位置-語源 및 誤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ce Names Presented in the Area of Baekdu Mountain and Duman River of 『Daedongnyeoji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大東輿地圖』 白頭山-豆滿江 일대에 표시된 몇 가지 地名의 검토 -國境認識, 位置-語源 및 誤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ce Names Presented in the Area of Baekdu Mountain and Duman River of 『Daedongnyeoji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ssessment on the colonial duality of Kyungsung(Keijō)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ssessment on the colonial duality of Kyungsung(Keijō)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백제초기의 지명과 도시

The City and a Place name of Baekje Dynasty at its Beginning Tim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 봉황형국을 중심으로 -

Feng-shui discourse on the formation of place name - mainly on the shape of phoenix-

지명학 | 17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명·지명을 나타내는 어휘의 비교고찰 -1945년부터 1960년까지의 한일유행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vocabularies indicating geographical designations or the name of countries-from 1945 to 1960-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국명·지명을 나타내는 어휘의 비교고찰 -1945년부터 1960년까지의 한일유행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vocabularies indicating geographical designations or the name of countries-from 1945 to 1960-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도시정체성의 탐색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ration and Application for City Identity

기초조형학연구 | 13 | 1 | 2012 | 예술일반

마한(馬韓)의 지명 ‘牟水國’에 대한 두 가지 의문

Two questions on Place name Mosuguk in Mahan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The Change of Geographical Names' Territory and Representation of Place Identity with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hungju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2 | 2010 | 지리학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The Change of Geographical Names' Territory and Representation of Place Identity with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hungju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2 | 2010 | 지리학

하남(河南) 지역의 지명 변천

The Changes of Place Names in Hanam City

지명학 | 17 | 2011 | 한국어와문학

부산 경남 지역 ‘까치·여우’ 계열 지명 연구

A Study on the Place-names, “kachi, yeou”,in Busan-Gyeongnam District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산 경남 지역 ‘까치·여우’ 계열 지명 연구

A Study on the Place-names, “kachi, yeou”,in Busan-Gyeongnam District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명을 통해 본 재해인식 및 방재 가능성 탐색

A Study on Disaster Recognition and Fea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Based on Place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지명을 통해 본 재해인식 및 방재 가능성 탐색

A Study on Disaster Recognition and Fea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Based on Place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Classification and Maintenance of Geographical Names

대한지리학회지 | 45 | 2 | 2010 | 지리학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Classification and Maintenance of Geographical Names

대한지리학회지 | 45 | 2 | 2010 | 지리학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Place Names' Study in Chungcheong Province

지명학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Place Names' Study in Chungcheong Province

지명학 | 16 |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명의 영문 표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안 제시를 중심으로

Discussing English Notation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Focusing on Two Alternatives of English Notation Principles

한국지도학회지 | 10 | 2 | 2010 | 지도학

지명의 영문 표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안 제시를 중심으로

Discussing English Notation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Focusing on Two Alternatives of English Notation Principles

한국지도학회지 | 10 | 2 | 2010 | 지도학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Named Sourc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지명의 관습법적 효력과 명명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lidity of Geographic Names as a Customary Law and the Right to Naming

법학논총 | 25 | 1 | 2012 | 기타법학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The Political Geography of Place Names : The Decisions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 3 | 2012 | 지리학

공간정보로서의 지명(地名) 관리제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 in Geographic Name Management and Legislation as geoSpatial Information

지적과 국토정보 | 42 | 1 | 2012 |

한국 고대 지명, 인명이 반영하는 중국어음 시기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지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 연구 - 지명 관리 시스템과 지명 지도를 중심으로

An Establishment the Effective Plan to Manage a Place Name - Focused on the Place Name Management System and Place Name Map

한국지도학회지 | 10 | 2 | 2010 | 지도학

지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 연구 - 지명 관리 시스템과 지명 지도를 중심으로

An Establishment the Effective Plan to Manage a Place Name - Focused on the Place Name Management System and Place Name Map

한국지도학회지 | 10 | 2 | 2010 | 지도학

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웹지도화 방안

An Web-based Mapping by Constructing Database of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

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웹지도화 방안

An Web-based Mapping by Constructing Database of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

지명의 생성변화와 바람직한 지명집-인제군 지명집의 문제와 김부대왕(마의태자) 관련 지명과 지명유래를 중심으로-

Formation and Change of Place Name Advisable Place Name Collection -Focused on the problem of Inje-gun in Korea place name book and the history of place name and its name related with Kimbu-king-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지명의 생성변화와 바람직한 지명집-인제군 지명집의 문제와 김부대왕(마의태자) 관련 지명과 지명유래를 중심으로-

Formation and Change of Place Name Advisable Place Name Collection -Focused on the problem of Inje-gun in Korea place name book and the history of place name and its name related with Kimbu-king-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Chang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