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연구분야 : A990000 인문학 > 기타인문학

클래스 : 언어/각국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22

한자 :
영어 : name
동의어(UF) : 명(名)

E03 언어/각국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세례명 [ 洗禮名 ]

hasKind (종류)

 

X01 지명 지명

지명 () [ 地名 ]

hasKind (종류)

 

 

인명 () [ 人名 ]

hasKind (종류)

 

 

색 이름 () [ 色--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정명 [ 正名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호칭 () [ 呼稱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연명 [ 連名 ]

RT (관련어)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명 [ 改名 ]

RT (관련어)

 

E02 모형/기준 모형/기준

제목 [ 題目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이름 짓기

『공손룡자』 「지물론」 해석 - 지(指)와 속성 보편주의

Translation of Gong Sun Long Zi “On Pointing & Thing,”(指物論) - Pointing and attributive universalism -

철학논집 | 24 | 2011 | 철학

친일파인 자의 이름: 탈식민화와 고유명의 정치

The Name of Person called as Pro-Japanese : Decolonization Practice and Policitcs in Korea

민족문화연구 | 54 | 2011 | 기타인문학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증여의 논리

The Logic of Gift in Cyberspace

한국문화인류학 | 44 | 1 | 2011 | 역사학

Личные имена как часть русского речевого этикета (на примере работы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Personal names as a part of Russian speech etiquette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이름의 지시체 결정 문제와 새로운 기술이론

The Problem of Fixing the Reference of a Name and a New Description Theorz

철학 | 102 | 2010 | 철학

이름의 지시체 결정 문제와 새로운 기술이론

The Problem of Fixing the Reference of a Name and a New Description Theorz

철학 | | 102 | 2010 | 철학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있어 이름 유사성의 역할

The Role of Name Similarit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마케팅논집(Journal of Marketing Studies) | 18 | 4 | 2010 | 사회과학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있어 이름 유사성의 역할

The Role of Name Similarit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마케팅논집(Journal of Marketing Studies) | 18 | 4 | 2010 | 사회과학

현대 한국사회의 이름짓기 방법과 특성에 관한 고찰 ― 기복신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Naming in Modern Korean Society ― With a focus on the perspective of shamanic fortune belief ―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