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

연구분야 : A11011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방언학(국어학)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언어/각국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61

한자 : 呼稱
영어 : appellation
기타 : 呼称

E03 언어/각국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이름 (명칭) [name]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친족 호칭어 [ 親族呼稱語 ]

hasKind (종류)

 

 

왕호 () [ 王號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오빠 [ older brother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이름 짓기

N3:사례

hasInstance (사례)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영감 [ 令監 ]

≪한국의 언어 민속지-전라남북도 편≫에 대하여

A Review of ≪Linguistic Ethnography of Korea-Linguaculture of Jeolla Province≫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에녹 1서 「비유의 책」 연구: ‘(저) 사람의 아들’에 대한 언어・내용적 고찰

‘(That) Son of Man’ in the Book of Parables(1Enoch):Its language and contents

신학전망 | 174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표준 화법 개정을 위한 가정에서의 호칭어.지칭어 조사 연구

Survey Research to Improve the Korean Standard of Calling the Other Side In the Family

화법연구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준 화법 개정을 위한 가정에서의 호칭어.지칭어 조사 연구

Survey Research to Improve the Korean Standard of Calling the Other Side In the Family

화법연구 |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Личные имена в роли обращений в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общее и особенное

Personal names as Russian and Korean forms of address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Личные имена в роли обращений в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общее и особенное

Personal names as Russian and Korean forms of address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슬라브어의 호칭 체계: 권력, 결속력,거리감의 상관관계

The Slavic Address System: Power, Solidarity and Interpersonal Distance

슬라브硏究 | 27 | 2 | 2011 | 지역학

하나님의 호칭으로서의 yBiG:f.mi와 시편 62편 7절의 새 번역

yBiG:f.mi as God’s Epithet and New Translation of Psalm 62:7

신학논단 | 67 | 2012 | 기타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