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02

한자 : 地域文化
영어 : local culture
영어 : Regional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 [ 文化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속 축제 () [ 民俗祝祭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도시 문화 () [ 都市文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지역 문화 관광 [ 地域文化觀光 ]

hasIssue (이슈/주제)

 

 

지역 문화 특성화 [ 地域文化特性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역 문화학 [ 地域文化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지역 문화 회관 [ 地域 文化 會館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가로시설물 디자인 () [ 街路施設物--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지역 불교 연구 [ 地域佛敎硏究 ]

RT (관련어)

관련 인식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문화 정체성 () [ 文化正體性 ]

RT (관련어)

관련 인식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역사 정체성 [ 歷史正體性 ]

50년대 대구경북지역 군소작가들의 신문소설의 발굴과 의미 - 이정수, 김동사, 홍영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지역적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spaper Stories of Daegu-Gyeongbuk Region in 1950'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50년대 대구경북지역 군소작가들의 신문소설의 발굴과 의미 - 이정수, 김동사, 홍영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지역적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spaper Stories of Daegu-Gyeongbuk Region in 1950'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상품화된 축제와 이야기의 활용

Festival as a Cultural Product and Using Narrative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 소금 생산 전시 시설의 운용 -‘하의 소금전시관’을 대상으로-

A study on traditional salt product exhibition facil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aui salt exhibition center'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 소금 생산 전시 시설의 운용 -‘하의 소금전시관’을 대상으로-

A study on traditional salt product exhibition facil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aui salt exhibition center'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서사 텍스트를 통해서 본 ‘융합(통섭)’의 가능성으로서의 비판적 문화연구에 대한 시론 -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

Discussion of a critical cultural study with capacity of ‘amalgamation(convergence)’ through description text – with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律譜](檀大本)의 위상과 錦江 유역 시조문화의 영향

The Status of 『Yulboe』 and Influence of culture of Sijo in Watershed of Keum-Kang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Glocalism and Local Cuture As a Suggestion for a Joint Research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Glocalism and Local Cuture As a Suggestion for a Joint Research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東晉南朝時代 荊楚地域文化와 ‘荊楚人’ 意識

东晋南朝时期荆楚文化与'荆楚人'意识

동양사학연구 | 118 | 2012 | 역사학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olicy

토지공법연구 | 50 | 2010 | 법학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olicy

토지공법연구 | 50 | | 2010 | 법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역특성을 고려한 무용축제 연구 - 부산시 무용축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gional Dance Festivals - Focused on Basan Dance Festivals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지역특성을 고려한 무용축제 연구 - 부산시 무용축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gional Dance Festivals - Focused on Basan Dance Festivals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The Case Study of Area Studies in Honam Area, Korea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The Case Study of Area Studies in Honam Area, Korea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의 지방문화의 획일화와 지방공동체의 해체

The analysis of uniformity of local culture and dissolving of local community in North Korea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북한의 지방문화의 획일화와 지방공동체의 해체

The analysis of uniformity of local culture and dissolving of local community in North Korea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관점

Several Issues In Understanding the Northeast Asian Shamanism

동아시아고대학 | 27 | 2012 | 기타인문학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원도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

The method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 Focus on Gangwon dialect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원도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

The method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 Focus on Gangwon dialect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광주비엔날레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의한 장소마케팅 연구

A Study on place marketing by marketing mix strategy in Gwangju Biennale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2 | 2 | 2011 | 행정학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Socio-cultural Reconstruction of Space Text and Space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Gumdan and Chuncheon -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Socio-cultural Reconstruction of Space Text and Space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Gumdan and Chuncheon -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북경시 지역문화 기반의 가로시설물 디자인 현황 분석

Analysis on Street Furniture Design on Account of the Situation of Regional Culture in Beijing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1 | 2 | 2012 | 기타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