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정체성

연구분야 : B080000 사회과학 > 사회학
B081500 사회과학 > 사회학 > 문화/종교사회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88

한자 : 文化正體性
영어 : cultural identity
프랑스어 : identité culturelle
동의어(UF) : 문화적 정체성(文化的正體性)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문화의 정체성 [ 文化--正體性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정체성 () [ 正體性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전통문화 표현물 () [ 傳統文化表現物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역사성 () [ 歷史性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전통 축제 () [ 傳統祝祭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속 축제 () [ 民俗祝祭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 韓國屬東南亞現象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역사문화 관광 () [ 歷史文化觀光 ]

RT (관련어)

 

 

문화 정체 [ 文化正體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자문화 중심 주의 [ 自文化 中心主義 ]

RT (관련어)

관련 인식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지역 문화 () [ 地域文化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국가 문화 () [ 國家文化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문화 민주주의 () [ 文化民主主義 ]

전시체제 하의 여성성과 징후로서의 동성애

Femininity and Lesbian Love on the War Basi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소설에 형상화된 유목적 존재들의 삶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The Novel Teach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the Life of Nomadic Being Figured in the Multi-Cultural Novel

독서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주방언의 보전 전략

A Preserving Strategy of Jeju Dialect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제주방언의 보전 전략

A Preserving Strategy of Jeju Dialect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세계화시대 한국문화 발전의 방향모색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Polic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移植’ 논의를 통해 본 林和의 新文學史論

An Essay about Reappraisal on The Naming of “Theory of Transplantation literature” by Lym Wha(林和)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移植’ 논의를 통해 본 林和의 新文學史論

An Essay about Reappraisal on The Naming of “Theory of Transplantation literature” by Lym Wha(林和)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 디자인을 향한 인문학의 시선 - 광주 ‘충장로’를 중심으로

Eine geistes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zum Verstehen des Stadtraums 'Chungjang Road in Kwang Ju' im designperspektivischen Gesichtspunkt

영상문화 | 17 | 2011 | 학제간연구

한미 FTA와 문화법제

Korea-US FTA and Laws of Cultural Sectors

法學論文集 | 34 | 1 | 2010 | 기타법학

한미 FTA와 문화법제

Korea-US FTA and Laws of Cultural Sectors

法學論文集 | 34 | 1 | 2010 | 기타법학

독일 사회 속 축구월드컵과 문화정체성 -다큐멘터리 영화 <독일, 여름동화>와 2006년 월드컵 국면 언론 보도를 통해 본 독일 사회의 민족주의적 태도 연구

Fußball-WM und die kulturelle Identität in der deutschen Gesellschaf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6 | 2012 | 독일어와문학

주한미국공보원(USIS) 영화선전의 표상과 담론 ― 1950년대, 국가 재건과 자립 한국인의 주체성 ―

(Re)Presentations and Discourses in the USIS-Korea’s Film Propaganda ― The Rehabilitated Self in Rebuilding the Nation in the 1950s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한국인의 세계감각과 자의식의 형성 : 1950년대 관광을 중심으로

The Korean Formation Of Sense Of The World And Self-Consciousness : Focused On Tourism In The Fifties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문화정체성 구축을 위한 다문화미술교육: 디아스포라 작가 탐구를 통한 실행연구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Cultural Identity Inquiry about Diaspora Artists

미술과 교육 | 13 | 2 | 2012 | 미술이론

아시아 현대 미술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통해 바라본 다문화 미술교육과 문화 정체성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Cultural Identity as Viewed through Identity Formation of Contemporary Asian Art

미술과 교육 | 12 | 2 | 2011 | 미술이론

문화와 세계화: 국제적 비디오와 지역적 미술관

Cultural Globalization: Global Video and Local Museum-Nam June Paik and Musealization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형성과 화법교육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Teaching Oral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화법연구 | 17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형성과 화법교육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Teaching Oral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화법연구 | | 1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기유학종료자의 대학 졸업 이후 생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flections of Early Studying Abroad and Life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Colleges or Universities

청소년학연구 | 18 | 12 | 2011 | 기타사회과학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민족, 조국 귀속성, 현실의 ‘3중 경계문화정체성’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riple-boundary Cultural Identity' of People, Attributions of One's Homeland, Reality

국제정치논총 | 51 | 4 | 2011 | 정치외교학

‘우리’와 ‘그들’의 접촉지대: 영국 인류학 박물관에서 보는 현대 미술

The Contact Zone between ‘Us’ and ‘Them’: Contemporary Art in the Anthropological Museum in Britain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Cyber Media and Modern Popular Narratives-changes in media and process of non-peripherality of being the others

한국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Cyber Media and Modern Popular Narratives-changes in media and process of non-peripherality of being the others

한국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프레데릭 브륄리 부아브레 : 아프리카 베테 문자의 발명과 역사 그리기

Frédéric Bruly Bouabré : l’invention africaine de l’écriture de Bété et son histoire désinées

불어문화권연구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프레데릭 브륄리 부아브레 : 아프리카 베테 문자의 발명과 역사 그리기

Frédéric Bruly Bouabré : l’invention africaine de l’écriture de Bété et son histoire désinées

불어문화권연구 |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역사적 관점에서 보는 한국형 다문화 교육 모델 연구 - 음악문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Historical Viewpoint – Centered on Music Culture

예술교육연구 | 10 | 2 | 2012 | 예술교육학

세계화와 문화의 정체성 - H. Hesse, S. Zweig, Erika/Klaus Mann의 여행기에 드러난 문화관

Globalisierung und kulturelle Identität - Kulturbetrachtungen in der Reiseliteratur von H. Hesse, S. Zweig, E./K. Mann

카프카 연구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아프리카 국가들에서의 탈식민 민족해방의 가능성

La possibilité de la libération nationale et du postcolonialism dans les pays africains

프랑스 문화 연구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아프리카 국가들에서의 탈식민 민족해방의 가능성

La possibilité de la libération nationale et du postcolonialism dans les pays africains

프랑스 문화 연구 |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간통죄 규정을 통해 본 문화적 정체성 보호와 형법

Protec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riminal Law based on Adultery

성균관법학 | 24 | 3 | 2012 | 법학

인도네시아 바띡의 민족문화화 요인 고찰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Indonesian Batik's Growing to be National Culture

동남아시아연구 | 22 | 1 | 2012 | 지역학

근대 이후 제도화된 한국 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담론 고찰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Cultural Identity in Korean School Art Education institutionalized Since Modernization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근대 이후 제도화된 한국 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담론 고찰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Cultural Identity in Korean School Art Education institutionalized Since Modernization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국민국가 형성기 지역 축제의 역할과 변화 - 쾰른카니발을 중심으로

Die Rolle des Kölner Karnevals bei der Bildung des Nationalstaates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국민국가 형성기 지역 축제의 역할과 변화 - 쾰른카니발을 중심으로

Die Rolle des Kölner Karnevals bei der Bildung des Nationalstaates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카자흐 문화 정체성 연구 - 역사, 전통, 그리고 상상의 공동체의 개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Kazakh's Cutural Identity - focused on History, Tradition, and the concept of Imagined Commuties

노어노문학 | 23 | 4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멀라까(Melaka)를 통해 본 동아시아 해양 세계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st Asian Sea World With Special Reference to Melaka in East Asian Maritime Silk Road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배제의 정체성을 넘어서 - 열린 문화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모색으로서 서사적 정체성 연구

Beyond Exclusive Identity: A Study of Narrative Identity as a Basis for Construction of Open Cultural Identity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뉴욕타임즈』를 통해 본 1919년 한국− 3·1독립운동의 문화적 의의와 미국 여론−

Korea of Year 1919 Through New York Times: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American Public Opinions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Etude sur la violence identitaire dans la situation d'immigration - une approche psychodynamique autour des adolescents coreens en France -

이민 상황에서의 정체감 공격성에 대한 고찰 - 프랑스의 한국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역동적 접근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6 | 2011 | 프랑스문화학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Chinese Korean Cultural Change and Cultural Identity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Chinese Korean Cultural Change and Cultural Identity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Alienation from what?: Directions of Arts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Alienation from what?: Directions of Arts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한국어 숙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TCK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 Focusing on Third Culture Kid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다문화사회와 헌법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다문화사회와 헌법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정체성 유형과 생활만족도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ident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정체성 유형과 생활만족도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ident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경남지역 거주 국제결혼 한국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Korean males' marital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 the Gyeongnam province areas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경남지역 거주 국제결혼 한국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Korean males' marital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 the Gyeongnam province areas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Program to Create Cultural Identity for Multicultural Youngsters

무용역사기록학 | 24 | 2012 | 무용

새로운 정체성 ‘Korean-American’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Regarding New Identity 'Korean-America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1 | 2011 | 정치외교학

개혁개방 이후 다문화시대 중국조선족문학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모색

Groping for Cultural Identity in the literature of Korean Chinese after Open and Reform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개혁개방 이후 다문화시대 중국조선족문학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모색

Groping for Cultural Identity in the literature of Korean Chinese after Open and Reform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불교의 무아ㆍ연기 사상에 비추어 본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 in view of Buddhist Non-selfㆍInterdependence Thought

윤리연구 | 1 | 79 | 2010 | 학제간연구

불교의 무아ㆍ연기 사상에 비추어 본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 in view of Buddhist Non-selfㆍInterdependence Thought

윤리연구 | 1 | 79 | 2010 | 학제간연구

냉전시대 남북 분단국가의 문화정체성 모색과 ‘냉전 민족주의’

A Study on Cold War Nationalism and its Effect on The Formation of a Cultural Identity in a Divided Korea.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유로의식으로 보는 유럽의 문화정체성

European Cultural Identity Seen Through Euro-Consciousness

외국학연구 | 15 | 2011 | 기타인문학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제언과 전망 -한류 및 중국문화 관련 문헌의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Critical Suggestions and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ve and its Culture Industry -Focusing on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Korean Wave and the Chinese Culture and In-depth Interviews-

우리춤과 과학기술 | 7 | 2 | 2011 | 무용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략적 수용과 안동 문화정체성의 재구성

The Strategic Adoption of Creative Industry and Its Impact on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Identity in Andong Province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5 | 2011 | 지리학

세계화 시대 집단권리와 문화정체성 이슈에 관한 한 고찰

A Review on Issues of Group Rights and Cultur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세계화 시대 집단권리와 문화정체성 이슈에 관한 한 고찰

A Review on Issues of Group Rights and Cultur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문화정체성과 디자인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and Design Culture formation

조형미디어학 | 14 | 1 | 2011 | 기타미술

문화 정체성(Identity) 재고를 위한 창살문양의 디자인 브랜드화 연구 - 창덕궁 창살문양을 중심으로 -

Research of Branding Muntin Patterns for Enhancement of Cultural Identity - Focused on Lattice Shape of Changdeokgung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0 | 3 | 2012 | 디자인

제임스 가의 문화 정체성 형성의지

Jamesian Perspectives in Cultural Identity Formation

영어영문학 | 58 | 4 | 2012 | 영어와문학

文化正體性 확립을 위한 硏究

A Study on the Tasks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文化正體性 확립을 위한 硏究

A Study on the Tasks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르헨티나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보르헤스

Borges y la Identidad Cultural Argentina

코기토 | 67 | 2010 | 기타인문학

아르헨티나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보르헤스

Borges y la Identidad Cultural Argentina

코기토 | 67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