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축제

연구분야 : B180300 사회과학 > 관광학 > 관광마케팅/상품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417

한자 : 傳統祝祭
영어 : traditional festival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지역 축제 [ 地域祝祭 ]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관광 축제 () [ 文化觀光祝祭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전승 양상 () [ 傳承樣相 ]

hasIssue (이슈/주제)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문화 정체성 () [ 文化正體性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민속 예술 () [ 民俗藝術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y03-03 행사/축제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강릉단오제 [ 江陵端午祭 ]

hasInstance (사례)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쾰른 카니발 [Cologne Carnival]

감성의 발현양상으로 보는 축제의 이해와 활용

The aspect of Revelation and Practical use ofSensibility in Festivals

공연문화연구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감성의 발현양상으로 보는 축제의 이해와 활용

The aspect of Revelation and Practical use ofSensibility in Festivals

공연문화연구 |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전통축제와 축제적 연행의 구성과 진행 방식에 관한 시론-해월(解越)과 포월(匍越)의 미학적 가능성 탐색-

A preliminary study about the way of construction and progress on the Traditional festivals and Festive performance-An exploration of aesthetics possibility about the ‘Haewol’ and ‘Powol’-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전통축제와 축제적 연행의 구성과 진행 방식에 관한 시론-해월(解越)과 포월(匍越)의 미학적 가능성 탐색-

A preliminary study about the way of construction and progress on the Traditional festivals and Festive performance-An exploration of aesthetics possibility about the ‘Haewol’ and ‘Powol’-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