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향성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55

STNet ID : 1000863

한자 : 志向性, 指向性
독일어 : Intentionalität
영어 : intention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노에시스-노에마 [noesis-noma]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현상학 () [ 現象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2 심리 심리

지향 [ 志向 ]

Husserl의 현상학과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Husserl’s Phenomenology and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사행가사에 형상화된 타국의 수도(首都) 풍경과 지향성의 변모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capitals and the changing aspiration mirrored in the Ga-sa of Envoy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적 의미의 비변증법적 지향성 연구-서정주와 이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dialectic intentionality of Poetic meaning-to centered Seo, Joeng-ju and Lee, Dong-ju's poems-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감성시학과 변증법들- 김수영의 「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nsitivity poetics and dialecticS - to centered Kim, soo young's poem "Poo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마당: 열림과 닫힘의 세미오시스

Madang: The Semiosis of its Opening and Closing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마당: 열림과 닫힘의 세미오시스

Madang: The Semiosis of its Opening and Closing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

对韩教学中有关海峡两岸语法差异的一点看法 - 以离合词和“有+动词”句的教学为中心

중국어문학지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死生學의 성립 근거에 관한 철학적 탐구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ground of the new science "Thanatology"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死生學의 성립 근거에 관한 철학적 탐구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ground of the new science "Thanatology"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염불가류 불교 가사의 성격

A Study on the Amitabul chanting song Buddhist Gasa style(念佛歌類佛敎歌辭)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Concentrat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약한 적응주의와 언어

Weak Adaptationism and Language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약한 적응주의와 언어

Weak Adaptationism and Language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맥도웰과 셀라스 – 현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 -

McDowell and Sellars - The scientific image and The manifest image -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지각, 즉 나의 목소리를 들음 -언어적 지향성의 지각문제에 대한 대답-

Wahrnehmen als Hören meiner Stimme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지각, 즉 나의 목소리를 들음 -언어적 지향성의 지각문제에 대한 대답-

Wahrnehmen als Hören meiner Stimme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The Tendency and outlook of Spiritual Research

신학과 실천 | 24 | 2010 | 기독교신학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The Tendency and outlook of Spiritual Research

신학과 실천 | | 24 | 2010 | 기독교신학

‘Life-world’ as the Horizon of ‘Eco-phenomenology’

환경철학 | 9 | 2010 | 과학/자연철학

‘Life-world’ as the Horizon of ‘Eco-phenomenology’

환경철학 | | 9 | 2010 | 과학/자연철학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경험과 기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Rural Area of Korea

농촌사회 | 21 | 2 | 2011 | 사회학

비코와 후설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ico and Husserl

철학연구 | 88 | 2010 | 철학

비코와 후설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ico and Husserl

철학연구 | | 88 | 2010 | 철학

롤랑 바르트의『밝은 방』에 나타난 지향성의 문제

Question de l'intentionnalité dans La Chambre claire de Roland Barthes

프랑스학연구 | 5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미발설과 자아 개념 ― 이승환 교수의 미발설 비판 ―

Wei-fa Theory and Concept of ‘Self’ ― a critique against Prof. Lee's concept of wei-fa ―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On Brentano's Treatment of Objectless Representation

철학∙사상∙문화 | 12 | 2011 | 기타인문학

믿음의 선택은 가능한가?

Can One Believe Something by Choosing to Believe It?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믿음의 선택은 가능한가?

Can One Believe Something by Choosing to Believe It?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제도와 마음: 현상학 및 언어・심리철학적 접근

Institutions and the Mind: Approaches from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Language and Psychology

행정논총 | 50 | 1 | 2012 | 행정학

번안동화(설화)의 문학교육적 지향성 고찰-우리말 최초의 동화집·설화집『朝鮮童話大集』(1926)을 중심으로

Considering the intentionality of the adaptedfairy tales in the literary education -Around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fairy tales 『ChoSeonDongHwaDaeGip』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번안동화(설화)의 문학교육적 지향성 고찰-우리말 최초의 동화집·설화집『朝鮮童話大集』(1926)을 중심으로

Considering the intentionality of the adaptedfairy tales in the literary education -Around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fairy tales 『ChoSeonDongHwaDaeGip』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의 해석 문제 -바톡의 입장에 대한 비판-

The Problem of Interpreting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A Critique of Bartok’s View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감정의 지향적 합리성

Intentionale Rationalität der Emotion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지향상태가 갖는 <배경>의 비표상적 성격에 대하여

On the Non-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 States

현상학과 현대철학 | 45 | 2010 | 철학

지향상태가 갖는 <배경>의 비표상적 성격에 대하여

On the Non-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 States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5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