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62

한자 : 直觀
영어 : intuition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Degree (정도/수준)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직관력 [ 直觀力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페스탈로치 교수법 [ --敎授法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직관적 의사 결정 [ 直觀的 意思 決定 ]

베르그손의 의식 철학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연구-

The Problem of Being and Subject in Bergson’s Philosophy of Consciousness: a Study of Free Will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 문체론(stylistics)을 중심으로

The Rhetorical Study of Ko, Seok-Gyu's Criticism - Laying Stress on Stylistics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동궐 궐내각사의 구성과 직장(職掌)

The Constitution of Gueolnaegaksa of the East Palace in late Joseon Dynasty and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서울학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칸트의 인식론적 이원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Hegels Kritik am erkenntnistheoretischen Dualismus von Kant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Abduction as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한국언론정보학보 | 54 | 2 | 2011 | 신문방송학

논리를 넘어선 직관의 문학 기제 -≪노자≫의 ‘비유’를 논함

A Study on Metaphor of Laozi’s Daodejing

중국어문학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직관-기호-개념 -사유의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기호의 위치-

Anschauung-Zeichen-Begriff -Zeichen-Ort in der logischen Systematik des Denkens-

시대와 철학 | 23 | 3 | 2012 | 철학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미학에서 예술과 철학의 상호보완성 -문학중심의 고찰-

The Reciprocal Repletion between Art (especially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the Esthetic of Nicolai Hartman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왕양명 良知와 致良知의 도덕교육적 함의

Study on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in yang liang(良知) and chi liang zhi(致良知)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 - 분류 기준과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

Proper Noun and Common Noun - centered on classification and their concepts -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스티브 잡스의 선사상적 사고에 따른 애플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연구

Shape characteristic study of Apple’s design according to Zen thought of Steve Jobs

기초조형학연구 | 13 | 4 | 2012 | 예술일반

베르그송에 있어서 신의 직관

The Problem of the Intuition of God in H. Bergson

동서철학연구 | 58 | 2010 | 철학

베르그송에 있어서 신의 직관

The Problem of the Intuition of God in H. Bergson

동서철학연구 | | 58 | 2010 | 철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사비니의 법사고와 법이론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 방법론 연구(8-1)

Rechtsdenken und Rechtslehre bei F. C. v. Savigny

저스티스 | 119 | 2010 | 기타법학

사비니의 법사고와 법이론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 방법론 연구(8-1)

Rechtsdenken und Rechtslehre bei F. C. v. Savigny

저스티스 | | 119 | 2010 | 기타법학

『육지에 갇혀서』에 나타난 수피즘의 요소

The Sufic Elements in Doris Lessing’s Landlocked

영어영문학연구 | 53 | 3 | 2011 | 영어와문학

‘차이’ 찾기로서의 비교철학

The Comparative Philosophy for Disclosing 'Difference'

철학∙사상∙문화 | 11 | 2011 | 기타인문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괴테의 색채이론으로 본 바우하우스 이론가들의 색채 성향 분석 -요하네스 이텐, 파울 클레, 칸딘스키, 라즐로 모홀리나기의 회화 중심으로-

Goethe of the Color Theory as a Bauhaus Theorists' of Color Propensity Analysis -Johannes Itten, Paul Klee, Kandinsky, Laszlo Moholry Nagy Paintings with a Focus on Analysis-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0 | 2012 | 학제간연구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Pestalozzi의 인간교육 방법원리* - 'Gertrud의 자녀교육법'의 내용분석 및 교육학적 의미 -

Pstalozzis ‘Methode’ als Inbegriff der Menschenbildung - Eine Inhaltsanalyse und pädagogische Bedeutung von “Wie Gertrud ihre Kinder lehrt” -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베르그송의 직관철학과 심-신 문제

Bergsonian Intuition and Mind-Body Problem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베르그송의 직관철학과 심-신 문제

Bergsonian Intuition and Mind-Body Problem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탈 콜버그주의인가?

Is Moral Identity theory a post-kohlbergian? - The function of the reflective reasoning in the moral identity theory and it's implicati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한국어교육에서 일반 말뭉치 활용의 확대를 위한 제언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일반 말뭉치 활용의 확대를 위한 제언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의 주관정신론에서 인식론

Epistemologie in Hegels Lehre vom subjektiven Geis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considering context-focusing on request speech act-

시학과 언어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헤겔에서 언어의 사변적 본성

Das spekulative Wesen der Sprache bei Hegel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순수이성비판」에 나타난 수학적 인식의 특성: 개념의 구성

Mathematical Cognition as the Construction of Concepts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6 | 1 | 2012 |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방법원리(Methode)에 대한 교육학적 평가와 의미

Die pädagogische Werturteilung und Bedeutung der ‘Methode’ J. H. Pestalozzis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7 | 2 | 2012 | 교육철학/사상

2007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 분석: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Changes in Learning Topic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3 | 2011 | 교육학

Q방법론을 통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직관 연계 추론

Inferences on Connec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Intuition of Clinical Nurses

주관성 연구 | 21 | 2010 | 기타사회과학

Q방법론을 통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직관 연계 추론

Inferences on Connec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Intuition of Clinical Nurses

주관성 연구 | | 21 | 2010 | 기타사회과학

행위유발 디자인 연구

Affordance design research in industrial design

기초조형학연구 | 13 | 2 | 2012 | 예술일반

무용인식에서 노자의 <惚恍>과 상징의 관계 연구 - 감각과 기억의 관계를 기초로 -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Lao-Tzu's Hu-huang (惚恍) and Symbols in Dance Perceptions -Based on Relations between Sense and Memory-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무용인식에서 노자의 <惚恍>과 상징의 관계 연구 - 감각과 기억의 관계를 기초로 -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Lao-Tzu's Hu-huang (惚恍) and Symbols in Dance Perceptions -Based on Relations between Sense and Memory-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직관 프로그램이 초보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영적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Intuitive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piritual Well-Being of Beginner Counselors

상담학연구 | 12 | 4 | 2011 | 교육학

장자철학의 지혜와 현대적 의의

庄子哲学的智慧及现代意义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金鑢 문학의 미의식

A Study of Kim, Ryo's aesthetic sense in his literatur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하 증명에서 기호의 역할과 기호 중재에 의한 직관의 형성

Role of Symbol and Formation of Intuition by the Mediation of Symbols in Geometric Proof

수학교육학연구 | 20 | 4 | 2010 | 수학교육학

기하 증명에서 기호의 역할과 기호 중재에 의한 직관의 형성

Role of Symbol and Formation of Intuition by the Mediation of Symbols in Geometric Proof

수학교육학연구 | 20 | 4 | 2010 | 수학교육학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의 특징에 의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by the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2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의 특징에 의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by the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