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지 사족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892

한자 : 在地士族

a01-06-02 인간(지위/벼슬)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_X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서원 [ 書員 ]

RT_X (관련어►)

 

 

향규

RT_X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향안 [ 鄕案 ]

RT_X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향교 유향소 [ 鄕校留鄕所 ]

조선후기의 무과제도와 한국의 근대성

The Late Chosŏn Military Examination System and Korean Modernity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의 무과제도와 한국의 근대성

The Late Chosŏn Military Examination System and Korean Modernity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가좌동 禁松契의 운영과 기능 -경기 양성현 「禁松契座目」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nagement and Function of Gajwa-dong's Geumsong-gy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Jwamok of Geumsong-gye in Yangseong, Gyeonggi-

역사민속학 | 35 | 2011 | 역사학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在地士族의 사회적 기반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Bases of Jaejisajok in Jangheung, Boseong around Japanese Invasion into Korea in 1592 -With a focus on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during the war and their families-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松菴 金沔과 고령 지역의 의병활동

The patriotic soldier troop activity of Song Am Kim Myeon and in Goryeong Reg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장편소설에 반영된 향촌 지배층 변동 -1930년대 농촌 배경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Shift of the Hyangchon’s Ruling Class Reflected in Modern Long Novel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조선 후기 교동의 鄕案 입록 전통과 향권 주도 성씨의 추이

The Tradition of Kyodong Hyangan Regist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Regional Phase of the Power Shif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창녕지역의 향안 중수와 재지사족

The Repairing of Hyangan and the Local Sajok of the Changnyeong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朴壽春의 향촌활동과 도통인식

The Local Activities and Dotong(道統) Consciousness of Park Soo-choon(朴壽春), a Jaeji-Sajok(在地士族) of Miryang, in the Seventeenth Century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