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

한자 : 書員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관원 [ 官員 ]

R1:개념적

RT_Y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재지 사족 [ 在地士族 ]

大院君執政期 朝鮮社會의 變化와 發展 : James B. Palais의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에 대한 서평 논문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hosŏn Society in the Daewongun Period: A book review of the James B. Palais’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龜巖 李楨의 윤리교육론 -[大學] 중시의 四書觀과 교육 기반의 확충-

The theory for moral education of Kuam, Lee Chung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Da Xue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Ham­yang region with reference to Ko­dae Diaries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호서사학회 전근대 한국사 연구 40년의 동향과 과제

A Study on the Trends and Tasks of Pre-Modern Korean History Research in the Journal of Ho-Suh Historical Association for 40 Years

역사와 담론 | 61 | 2012 | 역사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대승불교 서원(誓願, praṇidhāna) 의식의 초기 불교적 모습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f the counterparts of the Early Buddhism for the concept of praṇidhāna of the Mahāyāna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Bansu at Sunggyungwan in Joseon Dynasty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

魏晉園林詩與生活美學

중국학논총 | 31 | 2010 | 중국문화학

魏晉園林詩與生活美學

중국학논총 | | 31 | 2010 | 중국문화학

麗末鮮初 ‘私置學堂’의 역할과 성격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rivate Academies in Transitional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麗末鮮初 ‘私置學堂’의 역할과 성격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rivate Academies in Transitional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南宋時期 建康府 明道書院의 연구

南宋时期 建康府 明道书院的硏究

동양사학연구 | 116 | 2011 | 역사학

주희와 육구연의 아호사 논쟁에 나타난 교육철학 연구 - 서구 자유교양교육 전통과의 비교 -

A Study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Zhu Xi(朱熹) and Lu Jiuyuan(陸九淵) in the Temple of E-Hu - A Comparison with the Liberal Education -

양명학 | 31 | 2012 | 철학

조선시대 서원의 배향인물 연결망 - 시간적 흐름에 따른 선호적 연결 원리의 변화

Shifting Principles of Preferential Attachment - Evidence from Seowon-Subject Networks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조선시대 서원의 배향인물 연결망 - 시간적 흐름에 따른 선호적 연결 원리의 변화

Shifting Principles of Preferential Attachment - Evidence from Seowon-Subject Networks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오리게네스의 “Peri Euches”의 기도 이해와 의미

Understanding and Meanings of the Origen’s “Peri Euches”

한국교회사학회지 | 28 | 2011 | 기독교신학

1사무의 세 본문들이 드러내는 문자적・내용적 상관성: 1,11.21.23의 MT, LXX, 4QSama를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the MT, LXX, and 4QSama (relating to the wording – textual content): central to 1Sam 1,11.21.23.

신학전망 | 170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1사무의 세 본문들이 드러내는 문자적・내용적 상관성: 1,11.21.23의 MT, LXX, 4QSama를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the MT, LXX, and 4QSama (relating to the wording – textual content): central to 1Sam 1,11.21.23.

신학전망 | | 170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조선 후기 당쟁의 원인

The Cause of Factional Str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당쟁의 원인

The Cause of Factional Str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회규를 통해서 본 명대의 서원 강회 제도

從會規看明代書院講會制度的特徵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書院, 學堂, 學校: 晚清民國陝西的學政改革與地方社會變遷

서원, 학당, 학교: 청말민국 시기 陕西의 学政 개혁과 지방사회 변천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書院, 學堂, 學校: 晚清民國陝西的學政改革與地方社會變遷

서원, 학당, 학교: 청말민국 시기 陕西의 学政 개혁과 지방사회 변천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조선시대 서원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Policy towards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한국행정사학지 | 28 | 2011 | 행정사

전통사상을 통한 서원건축의 친환경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nvironment-friendly Factors in Seo-won Architecture with the view of Traditional Thought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韓國 書院의 儒敎文化體驗 敎育旅行에 관한 硏究

The Study of Korean Seowon as an Authentic Confucianism Culture Experience Place for Educational Travel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옥산서원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Oksan-Seowon

주거환경 | 10 | 2 | 2012 | 국제/지역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