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104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
104 |
2010 |
철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통섭 비판-칸트의 ‘이성비판’의 관점에서
Critique of Consillience-In the perspective of ‘Critique of pure reas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물리계에서 마음의 존재론적 지위
The ontological status of mind in the physical world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체육학의 인과적 지식 정당화 가능성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in caus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현대조각의 파편화된 형상과 부분대상에 관한 연구: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 (1999-2001) 해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Partial Figure and Part Object in Modern Sculpture: Towards Understanding Marc Quinn’s The Complete Marbles (1999-2001)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비코와 후설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ico and Husserl
철학연구 |
88 |
2010 |
철학
비코와 후설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ico and Husserl
철학연구 |
|
88 |
2010 |
철학
과학적 동일성은 진정한 동일성인가:U. T. Place의 구성으로서의 동일성 개념에 나타난 이행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Is Scientific Identity Real Identity?: A View from U. T. Place's Identity Concept as the Identity as Composition Focusing on the Transitivity Problem
과학철학 |
14 |
1 |
2011 |
철학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Concentrat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Phenomenological Curriculum Inquiry: the Exploration of ‘Being'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Phenomenological Curriculum Inquiry: the Exploration of ‘Being'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복수 실현 가능성과 환원
Multiple Realizability and Reduction
철학적 분석 |
23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