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공산 청년회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118

한자 : 高麗共産靑年會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설립자

박헌영 (朴憲永)

김단야

임원근

조봉암 (曺奉岩)

김찬

권오설

소재지1

서울

구분

청년회 (靑年會)

설립목적_t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해방과 반봉건적 제도 모순의 타파를 통한 혁명

설립일자_t

1925.04.18.

해산일자_t

1928.0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조선청년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두수 [ 金斗洙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권오직 [ 權五稷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조선공산당 사건

isAffectedBy (영향요인)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공산당 () [ 朝鮮共産黨 ]

R2:기능적

evaluates (평가 대상)

 

 

국제공산청년동맹

produces (대상 개념)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6.10 만세 운동 [ 六十萬歲運動 ]

1920년대 재북경 한인 革命社의 『革命』 발간과 혁명운동

Organization of “Hyeokmyeongsa - Revolutionary Society” in 1920s and its activitie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1920년대 거제지역 청년운동 연구

Youth movement in Geoje Island in 192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자 장석천의 생애와 활동

Japanese colonial era, Life and activities of socialist Chang Seok-chon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