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교

연구분야 : A041200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자생종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145

한자 : 普天敎 
기타 : Bocheongyo

y06-03 학파/종파명

이전기관명

태을교 (太乙敎)

설립자

차경석 (車京石)

소재지1

전라북도 정읍시

설립목적_t

포교

설립일자_t

1921

해산일자_t

1936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PT (이전명)

 

 

보화교 () [ 普化敎 ]

PT (이전명)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선도교 [ 仙道敎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훔치교 () [ 吽哆敎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증산교 () [ 甑山敎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무극도 [ 無極道 ]

탄허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Venerabl Tan Heo’s Foretelling - It's Philosophical Bases and Significance -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보천교와 무극도의 신앙대상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Object of Belief of Bocheon-gyo and Mugeuk-do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식민지시기 보천교의 ‘공개’와 공개 배경

The Opening of Poch’ǒn’gyo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Opening Background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