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산교

연구분야 : A041200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자생종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08

한자 : 甑山敎
음차어 : Jeungsangyo

y06-03 학파/종파명

시대4

현대 (現代)

설립자

강일순 (姜一淳)

소재지1

전라북도 정읍시

설립일자_t

190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훔치교 [ 吽哆敎 ]

UF (비우선어)

 

 

증산대도교 [ 甑山大道敎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신종교 () [ 新宗敎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선도교 [ 仙道敎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증산도 [ 甑山道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태극도 [ 太極道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순진리회 () [ 大巡眞理會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보천교 () [ 普天敎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개벽사상 () [ 開闢思想 ]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수양론으로 본 한국 신종교의 구조적 특징 - 동학과 증산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tructural Character of the Korean New Religions from the Viewpoint of Self-cultivation : Focusing on Donghak and Jeungsan-gyo

동학학보 | 25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