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일순

연구분야 : A041701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한국종교일반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675

한자 : 姜一淳
호(號) : 증산(甑山)
동의어(UF) : 강증산(姜甑山)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전라북도 정읍시

저작

현무경

이론/사상

개벽사상 (開闢思想)

직업

종교인 (宗敎人)

소속

증산교 (甑山敎)

생몰년_t

1871-1909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옥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순진리회 () [ 大巡眞理會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철제 () [ 趙哲濟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차경석 (1880-1936) [ 車京石 ]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태극도 [ 太極道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동학 () [ 東學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도교 () [ 道敎 ]

isAffectedBy (영향요인)

 

 

참위설 [ 讖緯說 ]

‘낙토’ 만주의 농촌 유토피아와 공간 재현 구조 - 후기 재만 조선인 문학의 자연/농촌/고향 표상을 중심으로

Rural Utopia of 'Nakto' Manchuria and its Spacial Representation Structure --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nature, farm villages, hometown in the Korean-literature at Late-Manchukuo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4) - 한국 기독교와 한국 신종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Christianism's and Korean New-Religion'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4) - 한국 기독교와 한국 신종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Christianism's and Korean New-Religion'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A Study on Sundo Thoughts in Korean New Religions

仙道文化 | 12 | 2012 | 기타철학일반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중국 초기 민간도교의 解冤結과대순진리회의 解冤相生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aewongyeol (Resolution of Deep Grievances) in Tai-Ping-Jing and Haewonsangsaeng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in Daesoonjinrihoe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개벽사상에 관한 고찰 -수운, 증산, 소태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of Korean New Religions -Focused on the Suun, Jeungsan, and Sotaesan-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증산 강일순의 인권사상

Jeung-san Kang, Il-Soon's Human-rights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증산 강일순의 인권사상

Jeung-san Kang, Il-Soon's Human-rights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증산의 유교 비판과 수용

Jeung-San’s Analysis and Acceptance of Confucianism

종교교육학연구 | 35 | 2011 | 종교학

보천교와 무극도의 신앙대상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Object of Belief of Bocheon-gyo and Mugeuk-do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근대 동아시아 新宗敎의 이상관 비교 - 강증산과 홍수전의 혼합주의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points of Ideal of New Religion of Modern East-Asians - Focusing on Syncretism of Kang Jeung-san and Hong Hsiu-ch'uan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동아시아 新宗敎의 이상관 비교 - 강증산과 홍수전의 혼합주의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points of Ideal of New Religion of Modern East-Asians - Focusing on Syncretism of Kang Jeung-san and Hong Hsiu-ch'uan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증산사상의 불교 수용과 해석

An Analysis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Jeungsan’s Ideology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증산사상의 불교 수용과 해석

An Analysis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Jeungsan’s Ideology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