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

연구분야 : A040800 인문학 > 종교학 > 도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33

한자 : 道敎
영어 : Taoism
동의어(UF) : Daoism
한자 : 道教

y06-03 학파/종파명

시대4

[R] 기원전 6-7세기

설립자

장자마 (壯雌馬)

노자 (老子)

소재지1

중국 (中國)

설립목적_t

도의 실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황로학 [ 黃老學 ]

UF (비우선어)

 

 

현문 [ 玄門 ]

UF (비우선어)

 

 

도덕교 [ 道德敎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교 () [ 三敎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중국 종교 [ 中國宗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선도 () [ 韓國仙道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강일순 () [ 姜一淳 ]

hasIssue (이슈/주제)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연단술 [ 煉丹術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황로 [ 黃老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신선 사상 () [ 神仙思想 ]

isConceptOf (개념(전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진인 [ 眞人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태평경 [ 太平經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연금술 [ 鍊金術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삼교회통 () [ 三敎會通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도가 () [ 道家 ]

RT (관련어)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단전 호흡 [ 丹田呼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종밀 (780-840) [ 宗密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돈이 (1017-1073) [ 周敦頤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중국 도가 철학 [ 中國道家哲學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청사 [ 靑詞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사신도 [ 四神圖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정기신 [ 精氣神 ]

RT (관련어)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도사 [ 道士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포박자 () [ 抱朴子 ]

RT_Y (◄관련어)

관련 종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외단 [ 外丹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전진교 [ 全眞敎 ]

금강대도의 현재와 미래

Present and Future of Kumkangdaedo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

Two Korean Tea Classics Compared: Yi Mok’s ChaBu and Cho-ui’s DongChaSong

한국의 차 고전 두 작품 비교: 이목의 『차부』와 초의의 『동차송』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Two Korean Tea Classics Compared: Yi Mok’s ChaBu and Cho-ui’s DongChaSong

한국의 차 고전 두 작품 비교: 이목의 『차부』와 초의의 『동차송』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東亞思想史上的『明心宝鉴』-与中国、朝鲜、日本相关联-

東亞思想史上의『明心宝鉴』

중국과 중국학 | 12 | 2010 | 지역학일반

東亞思想史上的『明心宝鉴』-与中国、朝鲜、日本相关联-

東亞思想史上의『明心宝鉴』

중국과 중국학 | 12 | | 2010 | 지역학일반

백제 사택지적비의 연구사와 사상경향

History of research and Thought-tendency of Sataegjijeogbi of Baekje

백제문화 | 45 | 2011 | 한국고대사

後漢魏晉 鎭墓文의 종교적 특징과 道敎 ― 五石을 중심으로 ―

The 'Five Stones' of Han Tomb-Securing Writs and Early Daoism

동양사학연구 | 117 | 2011 | 역사학

모종삼의 양명학 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 on Mo Zong San's view of Yangming study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강화도 참성 의례의 추이와 醮禮 靑詞의 분석

ChamSeong at Mt. MaNi in GangHwa Island and Taoist ritual

동아시아고대학 | 27 | 2012 | 기타인문학

中世 中國 生死觀의 一面과 道敎 ― 殃禍의 觀念을 중심으로 ―

Popular Conception of Death and the Netherworld in early Medieval China : in relation to the growth of Daoism

중국고중세사연구 | 25 | 2011 | 역사학

한국의 買地券

韓國の買地券

역사교육 | 115 | 2010 | 역사학

한국의 買地券

韓國の買地券

역사교육 | | 115 | 2010 | 역사학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Kim Kwan-sik's Poetry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Kim Kwan-sik's Poetry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醫神 保生大帝에 대한 한 연구 -保生大帝의 치료로 본 ‘治癒’와 ‘健康한 삶’-

醫神保生大帝之信仰研究 —從保生大帝的治療透视治癒與健康的意義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醫神 保生大帝에 대한 한 연구 -保生大帝의 치료로 본 ‘治癒’와 ‘健康한 삶’-

醫神保生大帝之信仰研究 —從保生大帝的治療透视治癒與健康的意義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2) -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Indian Buddhism's and Chinese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2) -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Indian Buddhism's and Chinese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도교수행론에서의 심과 기

Mind and Ki in Taoist practice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도교수행론에서의 심과 기

Mind and Ki in Taoist practice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최치원과 천부경

Choi, Chi Won’s Cheonbugyeong Interpretatio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백봉교단(白峯敎團)의 실체와 종교사적 의의

The Identity and Status of Baekbong's religious Order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백봉교단(白峯敎團)의 실체와 종교사적 의의

The Identity and Status of Baekbong's religious Order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日本の<明心宝鑑>受容の研究 - 特に五山僧を中心として - 

일본의 『명심보감』 수용의 연구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日本の<明心宝鑑>受容の研究 - 特に五山僧を中心として - 

일본의 『명심보감』 수용의 연구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東學의 창도와 기존 宗敎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of Donghak foundation with existing religions

동학연구 | 28 | 2010 | 기타인문학

東學의 창도와 기존 宗敎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of Donghak foundation with existing religions

동학연구 | | 28 | 2010 | 기타인문학

「명심보감」 서문의 불교사상 고찰

The Study of Myongshimbogam's Buddhist Thought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武寧王陵 買地券의 起源과 受用背景

Origins and Acceptance Background of the Land Purchase Record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天符經≫中所見道家道教思想

「천부경」에 보이는 도가 도교 사상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한국 고대 仙敎의 ‘빛’의 상징에 관한 연구(下) - ‘ㅂㆍㄺ’의 신화와 서사를 중심으로 -

韓國古代仙敎的光明象徵硏究(下) - 以‘ㅂㆍㄺ(明)’的神話和敍事爲中心 -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中國 歲時風俗을 통해 본 民間信仰 諸樣相

A study on various aspects of folk beliefs in Chinese Seasonal Rituals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中國 歲時風俗을 통해 본 民間信仰 諸樣相

A study on various aspects of folk beliefs in Chinese Seasonal Rituals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도교의 실천 연구

A Study of Daoist Practice in Japan: the Concept of Health and the Practice of Health Care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도교의 실천 연구

A Study of Daoist Practice in Japan: the Concept of Health and the Practice of Health Care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문화의 상징성을 통한 디자인 개발 - 도교(道敎)의 텍스트 해석을 중심으로 -

Design Development through Symbols of Traditional Culture - Focused on Interpretation of the Text by Taoism -

정보디자인학연구 | 14 | 2 | 2011 | 정보디자인

산림치유에 대한 도가양생방면의 고찰

从道家養生方面来考察山林疗法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 2010 | 종교학

고려시대 능성 운주사에 대한 탐색

A Study of Wunju Temple in Neungseong in Koryeo Dynasty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the Chamseongdan's Ancestral Ceremonies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the Chamseongdan's Ancestral Ceremonies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여섯 가지 원시 동양사상에 따른 PR의 철학적 의미 제안

Proposal of PR Philosophy and Meanings based onSix Ancient Orient Thoughts

한국소통학보 | 15 | 2011 | 휴먼커뮤니케이션

대순진리회와 도교의 신앙체계에 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Belief Systems of Daesoonjinrihoe and Taoism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태상감응편』의 효사상 연구

A study on filial duty thoughts of “T`aish`anggaˇny`lngbi`a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汤显祖의 文學思想 形成 중에서 道敎의 影響小考

Study on Taoism's Influence on Tang Xian-zu' s Literary Thought During its Formation Period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汤显祖의 文學思想 形成 중에서 道敎의 影響小考

Study on Taoism's Influence on Tang Xian-zu' s Literary Thought During its Formation Period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The Taoist Culture in Baekje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백제 불교 수용 전후 사상 변화에 따른 왕위 계승 관계

Royal Successive Relation by the Alteration of Thoughts Before and After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Baekje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在唐 新羅人의 도교 활동과 羅唐간의 상호적 仙遊에 관한 연구

新羅人在唐朝的道敎活動, 以及羅唐之間雙向仙遊的硏究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도교의 형성과 성인의 탄생 - 생사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道教の形成と聖人の誕生 ─ 生死観の変化を中心にして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생태여성주의와 도교

Eco-feminism and Daoism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도교의 생명주체환경윤리

Bioautonomous environmental ethics of Taoism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도교의 생명주체환경윤리

Bioautonomous environmental ethics of Taoism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도교 서사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 고찰 - 교인(鮫人)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as cultural contents of Taoistic narrative - Focused on Kyo-in stories -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교 서사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 고찰 - 교인(鮫人)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as cultural contents of Taoistic narrative - Focused on Kyo-in stories -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Transnational Construction of Daoist Music: Creating Contexts, Constructing Identity

도교 음악의 초국가적 형성 : 맥락 만들기와 정체성 형성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서양 철학에서 본 도교 종교성: 헤겔, 베버와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On Daoism As The Religion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민간 도교 신격의 한 전형 - [보경]의 열 가지 도교 신격과 특징을 중심으로 -

民间道教神格的一個典型 - 以《宝经》的十种道教的神格和特征为中心 -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