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밀

연구분야 : A02030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1(위진수당)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090

STNet ID : 9001362

한자 : 宗密
기타 : Zongmi
동의어(UF) : 규봉 종밀(圭峰宗密)
기타 : Guifeng Zongmi
호(號) : 규봉(圭峰)
동의어(UF) : 규봉대사(圭峰大師)
기타 : Tsungmi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여래선 [ 如來禪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도교 () [ 道敎 ]

普照禪에 대한 眞覺慧諶의 看話禪 僞造

Jingak-Hyesim’s Ganwha-Sŏn(看話禪) Forgery of Bojo-Sŏn(普照禪)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정신에 대한 중국불교계의 이해 - 이념과 현실의 이중주

人間の精神に対する中国仏教界の理解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Bak Hanyeong (1870-1948) and Anti-Chan Sectarianism

박한영(1870-1948)의 선 종파주의 비판: 신회, 종밀과 지눌의 선교 통합주의 전통 계승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元曉“和諍”論與宗密“圓融”說

元曉의 ‘和爭論’과 宗密의 ‘圓融說’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보조 지눌 사상의 통시적(通時的) 현재성(現在性)

Diachronic Contemporaneity of Chinul's thought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종밀의 ‘知’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寂知의 體用觀을 중심으로-

Philological origination and idealogical development of Zongmi's theory of awareness : Focused on essence-function paradigm of tranquility-awareness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종밀의 ‘知’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寂知의 體用觀을 중심으로-

Philological origination and idealogical development of Zongmi's theory of awareness : Focused on essence-function paradigm of tranquility-awareness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宗密禪師的圓融思想對宋明佛教的影響

Influence of Zongmi’s Thought of Perfect and Fused Together for The Song-ming Buddhism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宗密禪師的圓融思想對宋明佛教的影響

Influence of Zongmi’s Thought of Perfect and Fused Together for The Song-ming Buddhism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宗密禪師의 時代認識과 ‘三敎會通’

Chan Master Zongmi's Recognition of the Times and Reconciliation of the Three Religions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宗密禪師의 時代認識과 ‘三敎會通’

Chan Master Zongmi's Recognition of the Times and Reconciliation of the Three Religions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