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불교/학의 형성과 아카데미즘에서의 위상 ---서구 불교학 형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
The Re-consideration on the Study of Buddhism and the Buddhist or/and Scholar's Academic Commitment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Korean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s in 1920~30s’ Manchuria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ligion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Korean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s in 1920~30s’ Manchuria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ligion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근대 동아시아 新宗敎의 이상관 비교 - 강증산과 홍수전의 혼합주의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points of Ideal of New Religion of Modern East-Asians - Focusing on Syncretism of Kang Jeung-san and Hong Hsiu-ch'uan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동아시아 新宗敎의 이상관 비교 - 강증산과 홍수전의 혼합주의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points of Ideal of New Religion of Modern East-Asians - Focusing on Syncretism of Kang Jeung-san and Hong Hsiu-ch'uan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세계화 시대의 민족주의와 신종교
Nationalism and New Relig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학술사적 의의와 한계
李能和的《朝鲜道教史》在学术史上的意义和局限性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학술사적 의의와 한계
李能和的《朝鲜道教史》在学术史上的意义和局限性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수양론으로 본 한국 신종교의 구조적 특징 - 동학과 증산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tructural Character of the Korean New Religions from the Viewpoint of Self-cultivation : Focusing on Donghak and Jeungsan-gyo
동학학보 |
25 |
2012 |
역사학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바하이신앙과 통일교의 평화론에 대한 비교연구-‘새로운 예언자’ 전통들의 유사점과 차이점-
A Comparative Study on Peace Thought in Bahai Faith and Unification Church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ew Prophet’ Traditions-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정착과 그 한계: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Their Establishment and Limitation as Modern Religions: Focusing on the Idea of Gaebyeok
종교문화비평 |
22 |
22 |
2012 |
종교학
초기 원불교의 신화적 변용에 대한 연구 -한국 신종교 연구의 방법적 시론-
A Study on Mythical Transformation in Early Won-Buddhism -A Methodological Essay o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한국 전파와 교의(敎義) -국내 본문불립종ㆍ영우회ㆍ입정교성회의 포교활동과 교의-
Propagation and Doctrine of Japanese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Korea -Honmon Butsuryushu, Reiyukai, Rissho Kosei-kai’s propagation and doctrine in Korea-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Growth of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Growth of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현재와 미래
The Present and Future of New Religions in Korea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근대일본 신종교의 붐(boom)과 탄압 ― 대본(大本)의 발전과 탄압사건을 중심으로 ―
The Boom and Suppression of New Religions in Modern Japan - Focusing on Omoto(大本)'s development and accidents -
종교연구 |
59 |
2010 |
종교학
근대일본 신종교의 붐(boom)과 탄압 ― 대본(大本)의 발전과 탄압사건을 중심으로 ―
The Boom and Suppression of New Religions in Modern Japan - Focusing on Omoto(大本)'s development and accidents -
종교연구 |
|
59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
2010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