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20309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일본고대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147

한자 : 任那日本府
기타 : Imnailbonbu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고대 (古代)

소재지1

가야 (伽倻)

구분

관청 (官廳)

설립목적_t

통치

설립일자_t

369

해산일자_t

56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임나관가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임나일본부설 [ 任那日本府說 ]

R2:기능적

manages (관리 대상)

 

 

임나 가야 ()

6세기 전반 가야 백제에서 활동한 '왜계관료'의 성격

6世紀の前半加耶 ‧ 百濟で活動した‘倭系官僚僚’の性格 李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6세기 전반 가야 백제에서 활동한 '왜계관료'의 성격

6世紀の前半加耶 ‧ 百濟で活動した‘倭系官僚僚’の性格 李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연구논문】 安羅.新羅의 ‘接境’과 ‘耕種’ 문제 - ‘任那日本府’ 출현 배경의 한 측면 -

安羅․新羅の‘接境’と‘耕種’との問題 - ‘任那日本府’の出現背景の一面 -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연구논문】 安羅.新羅의 ‘接境’과 ‘耕種’ 문제 - ‘任那日本府’ 출현 배경의 한 측면 -

安羅․新羅の‘接境’と‘耕種’との問題 - ‘任那日本府’の出現背景の一面 -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