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서파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156

한자 : 功西派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조선 후기 (朝鮮後期)

설립목적_t

노론(老論)을 견제할 목적.

설립일자_t

179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남인 () [ 南人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홍의호 [ 洪義浩 ]

hasMember (구성원)

 

 

박장설 [ 朴長卨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기경 [ 李基慶 ]

hasMember (구성원)

 

 

목만중 [ 睦萬中 ]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벽파 [ 僻派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신서파 [ 信西派 ]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餘窩 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A study of Mok Man-jung's poetry world - Focused on his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s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한시에 나타난 數詞의 修辭學

Rhetorical Number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餘窩 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A study of Mok Man-jung's poetry world - Focused on his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s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