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용어

연구분야 : A1101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어휘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24

STNet ID : 1000869

한자 : 借用語
영어 : loanword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외래어 () [ 外來語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신어 () [ 新語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팔라비어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필사본 고어대사전』 편찬에 대하여 -번역고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Archaic Words of Korean Manuscripts -Centering around Its Use for Reading Translated Ancient Novels-

한국사전학 | 16 | 2010 | 사전학

『필사본 고어대사전』 편찬에 대하여 -번역고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Archaic Words of Korean Manuscripts -Centering around Its Use for Reading Translated Ancient Novels-

한국사전학 | | 16 | 2010 | 사전학

독일의 언어순화운동의 양상

Aspekte der sprachpuristischen Bewegung im Deutschen

코기토 | 67 | 2010 | 기타인문학

독일의 언어순화운동의 양상

Aspekte der sprachpuristischen Bewegung im Deutschen

코기토 | 67 | | 2010 | 기타인문학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A Research on Korean and Mongolian symbolism & etymology of Hawks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A Research on Korean and Mongolian symbolism & etymology of Hawks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The Refinement Campaign of Korean Language and Loan Words from Japanese Language

韓国における国語醇化運動と日本語系借用語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9 | 2011 | 일본문화학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가 태국어에 끼친 영향자음, 관용어, 접미사를 중심으로

Pali-Sanskrit’s Influence to Thai Language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2 | 2011 | 지역학

『御製五體淸文鑑』에 나타난 馬名 考察 ― 만주어와 몽골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ames of horse in Wuti Qingwenjian (五體淸文鑑) -Specially investigated Manchu and Mongolian terms-

중앙아시아연구 | 17 | 1 | 2012 | 역사학

Polszczyzna przełomu XX i XXI wieku: dynamika procesów sprzyjających internacjonalizacji

Польский язык на рубеже XX-XXI вв.: динамика процесов, способствующих интернационализации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태부사(擬態副詞) ‘するすると’와 ‘술술이’ -「첩해신어(捷解新語)」자료를 통하여-

擬態副詞‘するすると’と‘술술이’ -「捷解新語」 資料を通して-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의태부사(擬態副詞) ‘するすると’와 ‘술술이’ -「첩해신어(捷解新語)」자료를 통하여-

擬態副詞‘するすると’と‘술술이’ -「捷解新語」 資料を通して-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에서 間接借用된 영어 借用語의 音韻論的 特質

日本から間接借用された英語の借用語の音韻論的特質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개화기 외래어 표기의 음운론

A Phonological Study on Loanwords in Enlightenment Period(1896-1910)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화기 외래어 표기의 음운론

A Phonological Study on Loanwords in Enlightenment Period(1896-1910)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차용어의 성조패턴 L1HL에 대하여

A Study on the Tonal Pattern “L1HL” of Loanwords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