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어

연구분야 : A090700 인문학 > 언어학 > 화용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31

STNet ID : 1000553

한자 : 新語
영어 : Neologism
영어 : new words
영어 : new word
영어 : Neologisms
기타 : 새말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신조어 () [ 新造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차용어 [ 借用語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 [ 言語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유행어 [ 流行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외래어 () [ 外來語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어 형성 () [ 單語形成 ]

『易言』을 前後한 ‘기계’와 ‘제조’의 어휘사

Ieon(易言) and the lexical history of the words '기계(machine)' and '제조(manufacture)'

국어국문학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易言』을 前後한 ‘기계’와 ‘제조’의 어휘사

Ieon(易言) and the lexical history of the words '기계(machine)' and '제조(manufacture)'

국어국문학 |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한어(漢語)와 모던 신어(新語), 개념으로 본 한중일 근대어의 재편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공유의 임계 혹은 시작

From Translation to Transliteration,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Modern Neologism -THE NEW DI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1937), the Limit or Beginning Point of East Asian Intercommunity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한어(漢語)와 모던 신어(新語), 개념으로 본 한중일 근대어의 재편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공유의 임계 혹은 시작

From Translation to Transliteration,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Modern Neologism -THE NEW DI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1937), the Limit or Beginning Point of East Asian Intercommunity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래어 조어소선정에 관한 연구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roots and affixes from loanwo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신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ologies about Neologis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新語·流行語에 관한 一考察

新語·流行語に関する一考察

외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1920~1930년대 대중잡지의 어휘소개에 대하여 - 현황과 명칭의 검토를 중심으로 -

About Popular magazines’s Vocabulary section from 1920s to 1930s - Focused on Current State of Inventory and Name of Title -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1910년 전후의 신어 수용 양상

Some aspects of accepting newly coined words around 1910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1910년 전후의 신어 수용 양상

Some aspects of accepting newly coined words around 1910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日本語と韓国語の新語の語種に関する対照 -2002年の新語を中心に-

일본어와 한국어 신어의 어종에 관한 대조 -2002년의 신어를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신어의 정착 연구 - 1920~1930년대 대중 잡지에 소개된 신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Stabilization of Korean New Words which is used from 1920s to 1930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