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형성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69

STNet ID : 1002727

한자 : 單語形成
영어 : formation of word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준말 [reduced form]

resultsIn (산물/결과)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신어 () [ 新語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혼성 (언어학) [ 混成 ]

RT (관련어)

 

 

결합 [ 結合 ]

인터넷 통신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언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통신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언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첩의 두 유형

The two kind of suplication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첩의 두 유형

The two kind of suplication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 중심의 단어 형성법 교육 방안 - 학습자의 새말 소통 현상을 바탕으로

Text-Based Word-Formation Education Ways -Based on Learner's New Words Communication-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온라인 게임 금칙어의 조어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d Formation of prohibited words in online games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한·일어 파생어기와 접사와의 결합 관계 고찰 -어기의 어종을 중심으로-

現代韓․日語の派生語基と接辞との結合関係考察 -語基の語種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ule as the Device of Word Formation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ule as the Device of Word Formation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