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포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42

한자 : 鹽浦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울산 염포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삼포 [ 三浦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울산만 [ 蔚山灣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개항장 [ 開港場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염포진

R1:개념적

RT (관련어)

 

Y03 사건명 사건명

삼포왜란 () [ 三浦倭亂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유포

isAdjacentTo (근접)

 

X01 지명 지명

개운포 [ 開雲浦 ]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Kindom and the early Joseon Kingdom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Kindom and the early Joseon Kingdom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