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장

연구분야 : A020107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국제관계사(역사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8

STNet ID : 1000074

한자 : 開港場
영어 : open port area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개항지 [ 開港地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해관장 [ 海關將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해관원 [ 海關員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해관 [ 海關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개항 [ 開港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광저우 () [ 廣州 ]

hasInstance (사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염포 [ 鹽浦 ]

煙臺 開港場의 貿易 構造와 性格(1864-1910)

煙臺的貿易結構和性格(1864-1910)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

The People of Choryang after the Opening of Ports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Space

한국민족문화 | 44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후반 중국 해관통계자료에 대한 재검토 -1888년 중국해관 통계자료 상의 지역권 교역수지문제를 중심으로-

Trade Balance of the Macro Regions in Modern China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19세기 후반 중국 해관통계자료에 대한 재검토 -1888년 중국해관 통계자료 상의 지역권 교역수지문제를 중심으로-

Trade Balance of the Macro Regions in Modern China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

동래 ‘무예학교’의 실존 배경을 통한 개항장 무예교육

The Existence Basis of Dongnae ‘Martial Arts School’ and Martial Arts Education in Open Port Area

한국체육사학회지 | 16 | 3 | 2011 | 기타예술체육

개항기 부산항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계 형성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of Busan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國內, 國際 交易網 속의 煙臺 開港場의 位相(1861〜1910)

The characteristics of Yantai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networks from 1861 to 1910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간구조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개항도시의 식민지적 성격 -한국과 중국의 개항도시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lon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pen-Port Cities -A Comparison of Spatial Structures in the Open-Port Cities in Korea and Chin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