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관

연구분야 : B070200 사회과학 > 무역학 > 무역실무및무역경영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215

STNet ID : 1002688

한자 : 海關
영어 : maritime customs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해관장 [ 海關將 ]

hasMember (구성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해관원 [ 海關員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개항장 [ 開港場 ]

RT (관련어)

 

 

관세권

RT (관련어)

 

 

[R] 불평등 조약 체결 ()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1878年豆毛鎭の收稅をめぐる朝日両国の認識と対応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19세기 말 仁川과 漢城의 중국인 居留地 운영체제

19世纪末清在朝鲜的居留地设置与运用方式

동양사학연구 | 113 | 2010 | 역사학

19세기 말 仁川과 漢城의 중국인 居留地 운영체제

19世纪末清在朝鲜的居留地设置与运用方式

동양사학연구 | | 113 | 2010 | 역사학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 Features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唐 前期 官人 父母喪의 확립과 그 성격 ― 心喪·解官을 중심으로 ―

唐前期官人父母丧的确立及其特征 -以心丧․解官为中心

중국고중세사연구 | 28 | 2012 | 역사학

淸前期 海關 設置와 그 意味

The establishment and meaning of maritime customs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19세기 후반 중국 해관통계자료에 대한 재검토 -1888년 중국해관 통계자료 상의 지역권 교역수지문제를 중심으로-

Trade Balance of the Macro Regions in Modern China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19세기 후반 중국 해관통계자료에 대한 재검토 -1888년 중국해관 통계자료 상의 지역권 교역수지문제를 중심으로-

Trade Balance of the Macro Regions in Modern China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