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6

STNet ID : 1000073

한자 : 開港
영어 : open port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개국 통상론 [ 開國通商論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포소 [ 浦所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개항장 [ 開港場 ]

RT_Y (◄관련어)

관련 행위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항만 [ 港灣 ]

煙臺 開港場의 貿易 構造와 性格(1864-1910)

煙臺的貿易結構和性格(1864-1910)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근대무역과 화북경제권의 변화

近代贸易及华北经济圈的变化

중국근현대사연구 | 49 | 2011 | 중국현대사

开埠以后天津城市文化的变迁

Transformation of Urban Culture in Tianjin After Opening Port

인천학연구 | 1 | 14 | 2011 | 기타인문학

제주해녀-바다를 횡단하는 트랜스내셔널 유목주체

Jeju Haenyeos ‐ Transnational Nomadic Subject Crossing the Sea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1 | 2011 | 기타인문학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 Features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항만내 위험물관리의 안전도 제고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A Study on the Legal Countermeasures for the Safety Improvement of Dangerous Goods Control in Port Area

법학연구 | 20 | 2 | 2012 | 기초법

開港 初期 木浦港의 日本人과 海上네트워크

A Study on the Marine Network with Japanese at Mokpo Port in the Beginning of Port Opening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개항∼일제강점 초기 경성의 재조선 일본인 교육기관과 경성학교조합 설립

Establishment of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Kyeongseong-Hakgyojohap ("School Union") in Seoul from 1876 to 1914.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개항기 일본인들의‘인천(仁川)’표상 - ‘식민도시 인천’담론의 기원

开港期日本人たちの'仁川'表象 - ‘植民都市 仁川’談論の起源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개항기 일본인들의‘인천(仁川)’표상 - ‘식민도시 인천’담론의 기원

开港期日本人たちの'仁川'表象 - ‘植民都市 仁川’談論の起源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식민지시대 개항장도시 일본인의 생활세계와 식민지인식에 대한 실증연구 - 동창회·향우회 명부, 사진첩, 추억록의 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the Life and Colony Recognition of the Japanese Who Lived in the Open Port Area during the Colonial Era

한국도서연구 | 23 | 2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