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석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659

한자 : 元天錫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 전기 (1392-) [ 朝鮮前期 ]

S:동의

UF (비우선어)

 

자정 [ 子正 ]

UF (비우선어)

 

운곡 [ 耘谷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고려수절신 [ 高麗守節臣 ]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Noblemen's Critical Perception of 'Pyegaipji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許同年仲遠以詩見寄分字爲韻二十八首>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gok Won Cheonseok's Merrymaking Game of Poetry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許同年仲遠以詩見寄分字爲韻二十八首>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gok Won Cheonseok's Merrymaking Game of Poetry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耘谷 元天錫의 詩 인식 탐구

Study of Poem Awareness through ungok Won Cheonseok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許同年仲遠以詩見寄分字爲韻二十八首>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gok Won Cheonseok's Merrymaking Game of Poetry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許同年仲遠以詩見寄分字爲韻二十八首>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gok Won Cheonseok's Merrymaking Game of Poetry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