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796

한자 : 李晩燾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안동 (安東)

직업

독립운동가 (獨立運動家)

문신 (文臣)

생몰년_t

1842-1910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관필

UF (비우선어)

 

향산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을사오적 [ 乙巳五賊 ]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을사조약 (1905) [ 乙巳條約 ]

自靖殉國日記와 韓末 嶺南 선비의 形象 -『靑邱日記』와 『蹈海日記』를 대상으로-

A Study on Yeongnam Confucianist's Character through Self-Sacrifice for country Diary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自靖殉國日記와 韓末 嶺南 선비의 形象 -『靑邱日記』와 『蹈海日記』를 대상으로-

A Study on Yeongnam Confucianist's Character through Self-Sacrifice for country Diary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詩 飜譯의 難解性

Difficulties in Translation of Hyang San's Poem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