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바다/강/호수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095

STNet ID : 9008545

한자 : 蟾津江

x01-05 바다/강/호수명

원지명

두치강

위치

전라북도 (全羅北道)

면적_t

4,896㎢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남도 [ 慶尙南道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전라남도 [ 全羅南道 ]

S:동의

UF (비우선어)

 

 

기문하

UF (비우선어)

 

 

사천

S:전후

PT (이전명)

 

 

대사강

PT (이전명)

 

 

다사강

PT (이전명)

 

 

모래내

PT (이전명)

 

 

모래가람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하상 계수 [ 河狀係數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섬진강댐

R1:개념적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순자강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오원천 () [ 五院川 ]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옥정호 () [ 玉井湖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물이용 부담금 () [ --利用負擔金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마이산 도립공원

isAdjacentTo (근접)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지리산 국립공원 [ 智異山國立公園 ]

isAdjacentTo (근접)

 

 

광한루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A Study of the Traffic Route Baekjeon and Gaya on the Jeollabuk-do Region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n the process of Silla's subjugation of Daegay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섬진강 유역의 일본군 성노예 기념물 ‘평화의 탑’ 건립 배경과 주체 : 망각에서 기억으로

Background and Major Participants of Monument of ‘Peace Tower’ in Memory of Sex Slave for Japanese Colonial Army in the basin of the Seomjin-River: From Oblivion to Memory

여성과 역사 | 16 | 2012 | 여성사(역사학)

섬진강 중류지역 누정의 건축적 특성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Nujung in Middle Region of Somjin River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섬진강 떼배 제작과 운용

Process and Sailing of The Sum-jin River's Tebae (raft)

국토지리학회지 | 44 | 1 | 2010 | 지리학

섬진강 떼배 제작과 운용

Process and Sailing of The Sum-jin River's Tebae (raft)

국토지리학회지 | 44 | 1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