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연구분야 :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95

한자 : 全羅北道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대한민국 (大韓民國)

면적_t

8054.84㎢

인구_t

1,871,818명 (2013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전라도 () [ 全羅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호남 지역 () [ 湖南地域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만경강 [ 萬頃江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군산시 [ 群山市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남원시 [ 南原市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 지명 지명

이성현 [ 利城縣 ]

hasInstance (사례)

 

X01 지명 지명

둔덕방 [ 屯德坊 ]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과 효율화 방안-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Financial Analysis and Alternatives for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3 | 2011 | 행정학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강원도, 전라북도를 사례로-

An Assessment of the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of the Tourism Industry-A case Study of GangWonDo and JeollaBukDo, Korea

관광학연구 | 34 | 1 | 2010 | 관광학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강원도, 전라북도를 사례로-

An Assessment of the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of the Tourism Industry-A case Study of GangWonDo and JeollaBukDo, Korea

관광학연구 | 34 | 1 | 2010 | 관광학

정책형성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 구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Local Government's Role of the Policy Forming Process

한국자치행정학보 | 26 | 1 | 2012 | 도시/지방행정

전라북도 컨벤션센터 건립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연구 -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

Identifying Residents' Perception toward Building a Convention Center in the Northern Jeolla Province: An Application of Social Exchange Theory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전라북도 컨벤션센터 건립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연구 -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

Identifying Residents' Perception toward Building a Convention Center in the Northern Jeolla Province: An Application of Social Exchange Theory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서사무가와 판소리의 상관성 - 전북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Seosa Muga and Pansori -With focus on Seosa Muga prevalent in Cholabuk-do area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지역축제 특성 연구 - 전라북도 시군대표축제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by Semiological Analysis:Focusing on Local Representative Festival in Jeonbuk

관광학연구 | 36 | 6 | 2012 | 관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