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지역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15

STNet ID : 1001045

한자 : 湖南地域
영어 : Honam region
영어 : Honam area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호남 지방 [ 湖南地方 ]

UF (비우선어)

 

 

호남 [ 湖南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전라남도 [ 全羅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전라북도 () [ 全羅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광주광역시 [ 光州廣域市 ]

崔溥의 中國漂海와 儒學思想

Choi Bu's Pyohaerok And His Confucian Ideas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湖南西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地方

A Study on the Local Areas during the Ungjin Period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Western Areas of Honam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한국 서남부지역 이중구연호의 변천과 성격

On the Tran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with two-foldmouth in Southwest Korea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한국 서남부지역 이중구연호의 변천과 성격

On the Tran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with two-foldmouth in Southwest Korea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3~6世紀 湖南地域의 鐵器生産과 流通에 대한 試論 - 榮山江流域 資料를 中心으로 -

A Study of the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Honam Region from the 3rd Century to the 6th Century

호남고고학보 | 37 | 2011 | 역사학

주거자료를 통해 본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지역성

The regionalit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onam area through the house data

한국상고사학보 | 74 | 74 | 2011 | 역사학

호남지방의 전통주거에 나타난 건축적 의미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Residence in Honam province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호남지방의 전통주거에 나타난 건축적 의미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Residence in Honam province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