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13

한자 : 湖南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호남 지역 () [ 湖南地域 ]

지역 문화담론의 식민지적 대응양상 고찰 - 1930년대 『호남평론』의 경우

A study on the local culture discourse’s confrontation way in colonial situation. - focused on The Honam review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愛情의 양상과 배경

The aspect and background of 1ove in Yeongnam and Honam's 'Nonmaenensori'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Pastoral Ministry of William D. Reynolds

한국기독교와 역사 | 33 | 2010 | 교회사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Pastoral Ministry of William D. Reynolds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3 | 2010 | 교회사

睡隱 姜沆과 17세기 초 호남 문학의 일면

A Study on Su-Eun, Gang Hang and Honam Lit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도서문화』 | 35 | 2010 | 기타인문학

睡隱 姜沆과 17세기 초 호남 문학의 일면

A Study on Su-Eun, Gang Hang and Honam Lit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도서문화』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Stone-tool assemblages and alternative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Jeju island

호남고고학보 | 36 | 2010 | 역사학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Stone-tool assemblages and alternative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Jeju island

호남고고학보 | 36 | | 2010 | 역사학

광주칠석동고싸움놀이의 문화적 표상과 가치

Cultural ticket as a matter of Gwangju Chilseok Gossaum and value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영∙호남 서사민요의 소통과 경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전승적 특질 비교

Comparison of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ballads in Yeongnam and Honam District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통의 시대와 저항담론으로서의 불교사상-197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서의 불교사상 수용 양상과 그 의미-

The Age of Suffering and Buddhist Thought as Resistance Discourses -Acceptance patterns of Buddhist thought and the meaning in 1970's Korean literature-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대중음악과 호남 사투리의 감성 정치

Popular Music and the Emotional Politics of Jeolla province dialect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李夏坤의 湖南 유람과 瀟灑園 방문

Lee Ha-gon’s Sightseeing throughout Jeolla Province and Visit to Soswawon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李夏坤의 湖南 유람과 瀟灑園 방문

Lee Ha-gon’s Sightseeing throughout Jeolla Province and Visit to Soswawon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은봉 안방준의 절의사상

A Study on Eunbong Ahn Bang-Jun's Integrity Ideology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은봉 안방준의 절의사상

A Study on Eunbong Ahn Bang-Jun's Integrity Ideology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근대 동아시아사의 재구성을 위한 공간의 시점

A view of space for reconstruction of modern East Asian history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2010 | 역사학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 2010 | 역사학

영남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적 특질 -호남지역 서사민요와의 비교를 위하여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ballads in Yeongnam District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남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적 특질 -호남지역 서사민요와의 비교를 위하여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ballads in Yeongnam District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후반기 정국동향과 호남 鄕儒 黃胤錫의 官職 任免

The Trend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wang Yoon-seok's Career as Goverment offical in the 18th century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19세기 湖南 七高朋에 對하여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전통문화의 원천으로서 무 문화의 갈래와 위상-호남지역 세습무 집단을 중심으로-

Branches of Korean Shamanism Culture and Its Status as a Source of Traditional Culture-With focus on troupes of hereditary shaman in Honam Area-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