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시

연구분야 : G020200 예술체육 > 음악학 > 서양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306

STNet ID : 2000269

한자 : 交響詩
영어 : symphonic poem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표제 음악 () [ 標題音樂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프란츠 리스트 (1811-1886) [Liszt, Franz von]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발레 음악 [ --音樂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오케스트라 () [orchestra]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hasInstance (사례)

 

 

로마의 소나무

hasInstance (사례)

 

 

핀란디아

hasInstance (사례)

 

 

[R]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 ()

hasInstance (사례)

 

 

민둥산의 하룻밤

hasInstance (사례)

 

 

영웅의 생애

hasInstance (사례)

 

 

레 프렐뤼드

hasInstance (사례)

 

 

마제파 [Mazeppa]

19세기 후반기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의 장르적 의미에 관한 고찰 - 댕디의 서곡 3부작 《발렌슈타인, op. 12》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nre meaning of 'Programmatic concert overture'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ed on the d'Indy's overture trilogy 《Wallenstein, Op. 12》

서양음악학 | 15 | 3 | 2012 | 음악학

차이코프스키 ‘환상서곡’의 장르적 경계의 모호성: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1880)과 《햄릿》(1883)을 중심으로

The Ambiguity of Genre's Border in Tchaikovsky's Fantasy Overture: Mainly on the Romeo and Juliet, 3rd.(1880) and Hamlet(1983)

서양음악학 | 14 | 3 | 2011 | 음악학

교향시 창시자 리스트의 재조명: 그 혁명성과 혼종성

A Reinterpretation of Franz Liszt as a founder of symphonic poem: The Manifestation of Hybridity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