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432

STNet ID : 9001317

한자 : 李夏鎭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하경 [ 夏卿 ]

UF (비우선어)

 

육우당 [ 六寓堂 ]

UF (비우선어)

 

매산 [ 梅山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익 () [ 李瀷 ]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마시 [ 司馬試 ]

星湖家 文學의 美意識 - 梅山·剡溪·星湖를 中心으로 -

Aesthetic Perception in Literatures of Seongho's Family -Focussing on Maesan·Seomgye·Seongho-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星湖家의 文學世界 - 靑雲 李瀣와 剡溪 李潛 詩文學 比較를 中心으로

Literature World of Seongho's Family -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Cheongwun Yi Hae's Poetry and That of Seomgye Yi Jam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少陵家의 使行 經驗과 詩的 形象化 - 少陵 李尙毅․太湖 李元鎭․梅山 李夏鎭을 中心으로 -

SoLeung family's Envoy experience and poetic imagery - Focusing SoLeung·TaeHo·MaeSan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少陵家의 使行 經驗과 詩的 形象化 - 少陵 李尙毅․太湖 李元鎭․梅山 李夏鎭을 中心으로 -

SoLeung family's Envoy experience and poetic imagery - Focusing SoLeung·TaeHo·MaeSan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