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문화 연구

연구분야 : B19011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신문방송학일반 > 문화이론/대중문화론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544

STNet ID : 2000078

한자 : 視覺 文化 硏究
영어 : Visual Culture Studies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시각 문화 [ 視覺文化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마이클 박산달

국내 서양미술사학의 확장

Disciplinary Expansion of Western Art History in Korea

역사학보 | 211 | 2011 | 역사학

From Aesthetics to Visual Culture Studies: analyzing critical meanings appeared in the style of Jeseok Yi'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미학에서 시각문화연구로: 이제석의 공익 광고 스타일에 나타난 비판적 의미 분석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From Aesthetics to Visual Culture Studies: analyzing critical meanings appeared in the style of Jeseok Yi'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미학에서 시각문화연구로: 이제석의 공익 광고 스타일에 나타난 비판적 의미 분석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적 개념이라는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Michael Baxandall's 'Period Eye' ― Critical understanding of that concept,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美學(미학) | 67 | 2011 | 철학

미술교육의 전환, 시각문화교육의 형성과 이론 체계

The Changes in Art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Categorization of Visual Culture Educati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