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태극기: 20세기 전반기의 미주 한인을 중심으로
Identity of Diaspora People and National Flag as Visual Culture : Korean Americans in the Early Twenty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6 |
2010 |
사회학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태극기: 20세기 전반기의 미주 한인을 중심으로
Identity of Diaspora People and National Flag as Visual Culture : Korean Americans in the Early Twenty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6 |
2010 |
사회학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A Reflection on Its Korean Academia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A Reflection on Its Korean Academia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파리 건축과 시각문화의 모더니티에 대한 역사적 소고 - 현대도시 원사(原史)를 포착하는 방법으로서 발터 벤야민의 영화적 이미지와 관련하여 -
A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Modern Parisian Architecture and Visual Culture - Focused on the Cinematic Images of Walter Benjamin as a Method of Capturing a Modern Cities’ Ur-form -
역사와경계 |
79 |
2011 |
역사학
The Return of the Haptic
촉각성의 귀환
미술과 교육 |
12 |
2 |
2011 |
미술이론
초등 미술 교육에서 조각의 색채 지도 방안 탐색
Research of the teaching methods of colors in sculpture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2000년대 관광 홍보 동영상 속의 한국: 그 특성과 의미
Exhibiting Korea: An Analysis of Koreanness in Tourism Images since 2000
한국문화인류학 |
44 |
2 |
2011 |
역사학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천전리 암각화의 신화적 도상 연구
A Study on Mythic Icon of Cheonjeon‐ri Rock Art by Semiotic Analysis
기호학 연구 |
32 |
2012 |
언어학
미술교육에서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텍스트 읽고 쓰기의 적용
A Study on Pedagogy for Reading and Writing Text through Hypertext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미술교육에서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텍스트 읽고 쓰기의 적용
A Study on Pedagogy for Reading and Writing Text through Hypertext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미학교육에 대한 재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미학교육에 대한 재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y for Improving Visual Literacy through Reading Pictures in a PictureBooks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
이미지 읽기: 기호학과 페미니즘 관점을 중심으로
Reading images: Focused on semiotics and feminism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Exploring New Methodological Horizons for Korean Art History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Exploring New Methodological Horizons for Korean Art History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앰비언트(Ambient) 광고지도 방법 모색
Instructional Methods of Ambient advertising for visual communication in art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Living in a Digital Art World: Visual Culture and Pedagogy on Polyvore
디지털 미술계에서의 생활: 폴리보어(Polyvore)에서의 시각문화와 교수법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Living in a Digital Art World: Visual Culture and Pedagogy on Polyvore
디지털 미술계에서의 생활: 폴리보어(Polyvore)에서의 시각문화와 교수법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과학적 증거물로서 디지털 이미지: 위험의 시각화에서 디지털 영상기술의 역할과 위치
Digital Image as Scientific Evidence: A Theoretical Inquiry of the Roles of Digital Technologies in Visualizing Risk
한국언론정보학보 |
54 |
2 |
2011 |
신문방송학
미술의 사회 참여 :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
Engaging Public Spaces: The Rol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조각에서 촉각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of the tactile sense in the sculpture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조각에서 촉각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of the tactile sense in the sculpture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문자의 차이에서 몸의 차이로: 문자문화에서 시각문화로
From written culture to visual culture: from symbolic body to imaginary body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문자의 차이에서 몸의 차이로: 문자문화에서 시각문화로
From written culture to visual culture: from symbolic body to imaginary body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명말 강남 문인들의 물질문화 담론에 관한 試論
An Essay on Jiangnan Literati's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and Distinction in Late Ming China
중국학 |
36 |
2010 |
기타중문학
명말 강남 문인들의 물질문화 담론에 관한 試論
An Essay on Jiangnan Literati's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and Distinction in Late Ming China
중국학 |
|
36 |
2010 |
기타중문학
신미술사학의 단초 : S. L. 앨퍼스의 ‘시각 문화’
Pathbreaking New Art History : S. L. Alpers's 'Visual Cultur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신미술사학의 단초 : S. L. 앨퍼스의 ‘시각 문화’
Pathbreaking New Art History : S. L. Alpers's 'Visual Cultur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Visual Culture and Identity: Investigating Issues of Diversity
시각문화와 정체성: 다양성의 이슈를 조사하며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Visual Culture and Identity: Investigating Issues of Diversity
시각문화와 정체성: 다양성의 이슈를 조사하며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Revisit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What’s Right and What’s Wrong with It?
미술교육에서의 시각문화를 재방문하며: 그것이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Revisit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What’s Right and What’s Wrong with It?
미술교육에서의 시각문화를 재방문하며: 그것이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The Role of Kantian Aesthetic Common Sense in Visual Culture
시각 문화에서 칸트 미학의 미적 공통감의 역할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The Role of Kantian Aesthetic Common Sense in Visual Culture
시각 문화에서 칸트 미학의 미적 공통감의 역할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시각문화의 브리콜라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재고
Reconsidering media literacy through bricolage of visual culture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