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74

STNet ID : 1000879

한자 : 鐵器
영어 : ironware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철기 유물 [ 鐵器遺物 ]

N2:부분

hasIngredient (성분/재료)

 

 

철(鐵) () [ 鐵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중부 지역 (한국 청동기) [ 中部地域 ]

RT (관련어)

 

 

제련로 () [ 製鍊爐 ]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2010 | 역사학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 2010 | 역사학

천안 청당동 분묘군 편년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the Dating of Graves in Cheongdang–dong, Cheonan

한국상고사학보 | 73 | 73 | 2011 | 역사학

만경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목관묘 연구

A Study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Period Wooden Coffin Tombs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호남고고학보 | 39 | 2011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The Cronolog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호서고고학 | 24 | 2011 | 기타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