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지역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18

STNet ID : 1005142

한자 : 中部地域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덧띠토기 () [ --土器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철기 [ 鐵器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원삼국시대 () [ 原三國時代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중서부지역 [ 中西部地域 ]

中部地域 環濠遺蹟 硏究 -화성 쌍송리유적 환호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tch-enclosed Sites in a Central Region -with Emphasis on Ditch-enclosed Sites at Ssangsong-ri in Hwaseong-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The Cronolog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호서고고학 | 24 | 2011 | 기타고고학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Settlement Struc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Neolithic to Bronze Ag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中部地域 突帶文土器文化의 展開樣相 -江原嶺西地域을 中心으로-

Development of 'Doldae Mun' Pottery Culture in Jungbu region - Focused on Yeongseo Region of Gwangwon Province -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