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국시대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322

STNet ID : 1002615

한자 : 原三國時代
동의어(UF) : 원삼국기(原三國期)
영어 : Proto Three Kingdoms Period
영어 : Proto-Three Kingdoms Period

x02-01 시대

대상지역

한반도 (韓半島)

대상기간_t

1-3세기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중부 지역 (한국 청동기) [ 中部地域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중서부지역 [ 中西部地域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삼한 () [ 三韓 ]

RT (관련어)

 

 

철기 유물 [ 鐵器遺物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x02-01 시대 시대

초기 철기 시대 () [ 初期鐵器時代 ]

飼育種 돼지의 韓半島 出現 時點 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 意味

Domesticated pig in Korea: its socioeconomic and symbolic context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嶺南地域 出土 豆形土器의 性格

Characteristics of Mounted Dishes Excavated from the Yeongnam Area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시대변천에 따른 주거지 입지환경 변화 연구 - 대전분지의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를 사례로 -

Study on changes of environment of location of dwelling site based on change of period - Cases of Daejeon Basin in the Bronze Age and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2010 | 역사학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 Three Kingdom Period in Hoseo and Western Honam areas”

호남고고학보 | 35 | | 2010 | 역사학

천안 청당동 분묘군 편년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the Dating of Graves in Cheongdang–dong, Cheonan

한국상고사학보 | 73 | 73 | 2011 | 역사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原三國~百濟 圓形 貯藏孔의 型式과 性格

Types & Characteristics of Circular store hole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Baekje

역사와 담론 | 57 | 2010 | 역사학

原三國~百濟 圓形 貯藏孔의 型式과 性格

Types & Characteristics of Circular store hole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Baekje

역사와 담론 | | 57 | 2010 | 역사학

대전지역에 있어서 원삼국시대 주거지 입지의 최적환경

The Optimum Environment of the Location of the Dwelling Site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in Daejeon Area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1 | 2012 | 기타지리학

原三國~百濟 熊津期 의 變遷樣相 및 編年 -漢江 및 錦江流域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Chronology and Changing Process of Bowl from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o Woongjin Phase of Baekje Period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忠淸北部地域原三國時代土器相對編年: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A Chronology of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Northern Chungcheong: Cheongju, Cheongwon and Cheonan Areas

한국고고학보 | 77 | 2010 | 역사학

忠淸北部地域原三國時代土器相對編年: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A Chronology of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Northern Chungcheong: Cheongju, Cheongwon and Cheonan Areas

한국고고학보 | | 77 | 2010 | 역사학

漢城百濟形成期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實用土器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The Specialization of Utilitarian Pottery Production in the Early State, Hanseon Baekje

한국상고사학보 | 71 | 71 | 2011 | 역사학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 구조

The Struture of Settlemen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연구 주제 다변화의 모색: 2010~11년 역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Diversification of Them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Two Years in Historical Archaeolog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Iron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