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三國期 錦江流域의 住居와 聚落類型 -湖西地域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and Settlement Types in the Geum River Basi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a focus on the Hoseo region -
역사와 담론 |
63 |
2012 |
역사학
메이지전기(明治前期) 검약규약의 제정과 내용 변화에 대한 고찰
明治前期倹約規約の制定と内容の変化に関する考察
동양사학연구 |
110 |
2010 |
역사학
메이지전기(明治前期) 검약규약의 제정과 내용 변화에 대한 고찰
明治前期倹約規約の制定と内容の変化に関する考察
동양사학연구 |
|
110 |
2010 |
역사학
화성 청계리 취락을 통해 본 한강유역 통일신라시대 촌락의 일면
Aspect of Unified Silla Village in Han River Basin : Through the work Community in Cheonggye-li, Hwaseong
신라사학보 |
24 |
2012 |
역사학
일제시기 모범부락의 내면과 그 기억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ality and Memory of ‘Model Vill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se Study of Suyang-ri, Sŏngjŏn-myŏn, Kangjin-kun, Chŏnnam Province-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모범부락의 내면과 그 기억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ality and Memory of ‘Model Vill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se Study of Suyang-ri, Sŏngjŏn-myŏn, Kangjin-kun, Chŏnnam Province-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일제하 식민권력의 촌락 침투와 촌락 사회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s Control of Korean Countryside and Korean Reaction to It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일제하 식민권력의 촌락 침투와 촌락 사회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s Control of Korean Countryside and Korean Reaction to It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