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연구분야 : B160200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973

STNet ID : 1000318

한자 :
영어 : village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촌村 () [ 村 ]

UF (비우선어)

 

 

이항 [ 里巷 ]

UF (비우선어)

 

 

이락 [ 里落 ]

UF (비우선어)

 

 

방촌 [ 坊村 ]

UF (비우선어)

 

 

방리 [ 坊里 ]

UF (비우선어)

 

 

동리 [ 洞里 ]

UF (비우선어)

 

 

교리 [ 郊里 ]

UF (비우선어)

 

 

촌락 [ 村落 ]

UF (비우선어)

 

 

동네

N1:종류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열읍 [ 列邑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어촌 [ 漁村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천주교 교우촌 () [ 天主敎校友村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민속촌 [ 民俗村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성씨촌 [ 姓氏村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예촌 [ 陶藝村 ]

hasKind (종류)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집성촌 [ 集姓村 ]

hasKind (종류)

 

 

원구 마을 [ 圓丘--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대촌 [ 大村 ]

hasKind (종류)

 

 

[R] 새마을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농어촌 [ 農漁村 ]

hasKind (종류)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산읍 [ 山邑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산동네 [ 山洞-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데모스 [demos]

RT (관련어)

 

 

동네 공동체 [ --共同體 ]

RT (관련어)

 

 

입향조 [ 入鄕祖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동장 [ 洞掌 ]

RT (관련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마을 제사 [ --祭祀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동답 [ 洞畓 ]

RT (관련어)

 

 

[R] 마을 풍경 () [ --風景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촌락권 [ 村落圈 ]

RT (관련어)

 

 

취락 () [ 聚落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 村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지형도 [ 地形圖 ]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경계의 재구성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constructing the Border of Communit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영남지방 수혈주거지의 검토

A Review of pit dwellings in Yeongnam region during Joseon period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영남지방 수혈주거지의 검토

A Review of pit dwellings in Yeongnam region during Joseon period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

지역공동체 운동과 미국 도시학의 역할

American Urban Studies: A Case for Community Movement

인천학연구 | 1 | 12 | 2010 | 기타인문학

지역공동체 운동과 미국 도시학의 역할

American Urban Studies: A Case for Community Movement

인천학연구 | 1 | 12 | 2010 | 기타인문학

마을(村落)과 都市에 관한 考古學의 論議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the Transition from Village to City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마을 풍수의 문화생태- 지리산권역의 마을을 사례로-

Cultural Ecology on the Village Fengshui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1910-1945년 충남지역 마을의 농지 소유구조의 변화 ―향한리, 한천리, 합덕리, 송룡리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Land Owning System of a Small Peasant Group in Chungnam

이화사학연구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1910-1945년 충남지역 마을의 농지 소유구조의 변화 ―향한리, 한천리, 합덕리, 송룡리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Land Owning System of a Small Peasant Group in Chungnam

이화사학연구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