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

연구분야 : F050200 농수해양 > 수산학 > 어업학
B160305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생물지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314

한자 : 漁村
영어 : fishing village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어촌마을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마을 () [village]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농어촌 [ 農漁村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어업 [ 漁業 ]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어촌 공동체 [ 漁村共同體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어촌계 [ 漁村契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인구 역류 [ 人口逆流 ]

마을어장의 위기와 가치의 재인식

Threats to Village Fisheries and the Recognition of Its Values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헤도닉모형을 이용한 어항개발 정책 평가 연구: 정주환경 개선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y Using a Hedonic Model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1 | 2 | 2011 | 정책학

어촌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영향지각에 미치는 영향 - 지역중심의 지속가능한 어촌관광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The Influence of Fishing Village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upon Perception of Tourism Impact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stainable Fishing Village Tourism Development led by the Local Community -

해양비즈니스 | 22 | 2012 | 수산해운해양경영

블루투어리즘을 통한 어촌활성화 방안 연구 - 삼산면 초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Fishing Village through Blue Tourism - Focused on the Chodo Case -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

블루투어리즘을 통한 어촌활성화 방안 연구 - 삼산면 초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Fishing Village through Blue Tourism - Focused on the Chodo Case -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