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 장애 유아

연구분야 : B0908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장애인복지
E151700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장애

클래스 : 인간(연령)
인간(장애/질병)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935

한자 : 發達障碍幼兒

a01-02-02 인간(연령)

연령1

영유아

a01-05-02 인간(장애/질병)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장애영유아 [ 障礙嬰乳兒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비장애 형제 [ 非障礙兄弟 ]

hasIssue (이슈/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양육 [ 養育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회적 지지 () [ 社會的支持 ]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장애 아동 어머니 [ 障碍兒童-- ]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sic Activities to facilitate Social Skill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on Settings

지적장애연구 | 13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t Therapy Program by Collage on the Verb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ttention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t Therapy Program by Collage on the Verb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ttention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The Effect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on Gross-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9 | 3 | 2011 | 특수/장애인체육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characteristic of Infant without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3 | 2010 | 교육학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characteristic of Infant without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3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