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다원시대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415

STNet ID : 9004285

한자 : 蜜茶苑時代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한국전쟁 () [ 韓國戰爭 ]

R1:개념적

RT_X (관련어►)

수록매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현대문학 (문예지) [ 現代文學 ]

제도 혹은 정상화와 지역문학의 역학 : ‘피난문단’과 ‘무크지 시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Mechanics between the institution or ‘the normalization' and the local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설에 나타난 피난지 부산의 다방 - 장소성 고찰을 중심으로 -

Appeared in the novel, a refuge of the Da-bang [cafe] in Busan -A Focusing on the study Placeness-.

동남어문논집 | 1 | 31 | 2011 | 기타국어학

「밀다원 시대」에 나타난 ‘부산’과 ‘밀다원’의 장소감

The Sense of Place of 'Busan' and 'Mildawon' Represented in 「Mildawon Sida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