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보이지 않는 중심과 관리(통제)되는 양심/ 내면의 지도
Atomic Bomb and Spies, Two Symbol Of A World Picture In Postwar Period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A female Partizan's narration of identity through her oral life st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상지리 (ideological geography)의 형성으로서의 냉전과 검열-해방기 염상섭의 이동과 문학을 중심으로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geography and censorship under the Cold War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A female Partizan's narration of identity through her oral life st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냉전시대 캐롤 몬시뇰의 구호 활동과 그 의의
The Implications of Carroll Monsignor’s Humanitarian Activities During the Cold War
교회사연구 |
34 |
2010 |
교회사
냉전시대 캐롤 몬시뇰의 구호 활동과 그 의의
The Implications of Carroll Monsignor’s Humanitarian Activities During the Cold War
교회사연구 |
|
34 |
2010 |
교회사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승만 정부의 국방외교 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gman Rhee Administration's Defense Diplomacy Policies
군사 |
76 |
2010 |
역사학
이승만 정부의 국방외교 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gman Rhee Administration's Defense Diplomacy Policies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노년의 욕망: 발설과 은폐 -김원일의 『슬픈 시간의 기억』을 중심으로
The Desire of the Aged; Revealing and Concealing : Based on the Novel, The Memories of Sad Times Written by Kim, Won-il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원자탄의 매개된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들 -종전과 전후, 한반도 해방(자유)의 조건들
The Mediated World Picture Of Atomic Bombs And Ruptures Of Re-regionalization -A condition for emancipation(libe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postwar period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기억의 특성을 통해 살펴본 한국인들의 한국전쟁 인식
South Korea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ters of Memory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밖의식’으로 바라본 도시화 -박완서 문학과 서울-
The Urbanization seen from a Suburbanite Consciousness -Seoul and the Park Wanseo's Literary Representation-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억의 특성을 통해 살펴본 한국인들의 한국전쟁 인식
South Korea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ters of Memory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정비석의 <유혹의 강>(1958)을 대상으로
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ost-war modernization and dangerous widow - [River of Temptation] written by Jeong bi-seok-oriente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정비석의 <유혹의 강>(1958)을 대상으로
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ost-war modernization and dangerous widow - [River of Temptation] written by Jeong bi-seok-oriente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The Vision of Neutralism 1945~1968 : Asia Beyond the Cold War Regime, or Notes on Choi In-hoon's Fictions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소설의 ‘한국’ 번역과 혼종성: 『손님』을 중심으로
Cultural Translation of ‘Korea’ and Hybridity in Hwang, Sok-yong’s Novel ―Focused on The Guest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United Nations Command’s Control and Support for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마당극 공간의 구조 및 수행성 연구 -<언젠가 봄날에>와 <삼팔선 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for Madang Theater and Performativity -Centering on and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지의 섬’의 민족 문제-영토와 신체
「基地の島」における民族の問題 ― 領土と身体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황석영 소설의 ‘한국’ 번역과 혼종성: 『손님』을 중심으로
Cultural Translation of ‘Korea’ and Hybridity in Hwang, Sok-yong’s Novel ―Focused on The Guest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Gangwon Regional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Gangwon Regional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Gangwon Regional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Gangwon Regional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해자를 통해 드러나는 도덕의 딜레마 - 박경리의 장편소설 『창』을 중심으로 -
Moral Dilemma Revealed in Harmer - A Study on Park Kyung-ni"s Novel “ Chang”(Window) -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해자를 통해 드러나는 도덕의 딜레마 - 박경리의 장편소설 『창』을 중심으로 -
Moral Dilemma Revealed in Harmer - A Study on Park Kyung-ni"s Novel “ Chang”(Window) -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4장 ‘통일이행기’ 舊 북한지역의 상황변수 분석
The prediction of North Korean situation in the period of practical unification just after the war and the end-state of the contingency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 and Task on the Commun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 and Task on the Commun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과 지방화단 ― 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World of Rural Artists ―The Artists World of Busan, Jeju, Honam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과 지방화단 ― 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World of Rural Artists ―The Artists World of Busan, Jeju, Honam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한국전쟁과 지방화단 ― 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World of Rural Artists ―The Artists World of Busan, Jeju, Honam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과 지방화단 ― 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World of Rural Artists ―The Artists World of Busan, Jeju, Honam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The Evolution of Syngman Rhee's Anti-Communist Policy and the Col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이승만의 반공정책과 한반도의 냉전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The Evolution of Syngman Rhee's Anti-Communist Policy and the Col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이승만의 반공정책과 한반도의 냉전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The Vision of Neutralism 1945~1968 : Asia Beyond the Cold War Regime, or Notes on Choi In-hoon's Fictions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과 전쟁 승리의 함수관계 - 6ㆍ25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
Military Intervention of Political Leader and Victory of an War - Based on the Korean War -
군사연구 |
133 |
2012 |
역사학
문학적 표상으로서 ‘자살’과 의미작용의 함수관계-전후 소설을 중심으로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notion of ‘Suicide’ and Semiotic Literature Representation -Based on Postwar Novels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North Korea’s Propaganda & Agitation Projects in the Occupied Area of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North Korea’s Propaganda & Agitation Projects in the Occupied Area of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문학적 표상으로서 ‘자살’과 의미작용의 함수관계-전후 소설을 중심으로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notion of ‘Suicide’ and Semiotic Literature Representation -Based on Postwar Novels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The Peace-keeping Role of the American Troop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
20 |
1 |
2011 |
외교/안보/통일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Cultural Memory and Place for the 6.25 War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개인 편지에 나타난 북한 인민의 전쟁 서사
War Epic of North Korea People expressed Personal Letters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1952년 ‘미국의 소리 한국어방송’의 부산정치파동 보도와 KBS 중계방송의 중단
The Voice of America Korean Service Coverage of the Pusan Political Crisis in 1952 and the Ban of KBS Relay Broadcasts
역사와경계 |
80 |
2011 |
역사학
한국전쟁기 유진오의 글쓰기와 피난의 윤리성
Writings of Yoo Jin-oh and Justification of Taking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흥길의 『장마』에 나타난 샤머니즘의 의미 고찰
The consideration on Shamanism represented on The Rainy Season of Yoon Heung-kil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유진오의 글쓰기와 피난의 윤리성
Writings of Yoo Jin-oh and Justification of Taking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 and Task on the Commun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 and Task on the Commun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한국전쟁 해석 비판: 정신적 보훈의 관점
A Critique of Interpretation of Korean War Describ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A Perspective of Respect for Veterans' Sacrifice
한국보훈논총 |
10 |
4 |
2011 |
기타사회학
1952년 ‘미국의 소리 한국어방송’의 부산정치파동 보도와 KBS 중계방송의 중단
The Voice of America Korean Service Coverage of the Pusan Political Crisis in 1952 and the Ban of KBS Relay Broadcasts
역사와경계 |
80 |
2011 |
역사학
개인 편지에 나타난 북한 인민의 전쟁 서사
War Epic of North Korea People expressed Personal Letters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국방부 정훈매체 『국방』의 문예면 연구 - 한국전쟁기 정훈문학 연구․2 -
A Study on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2 - Issued on 『Kook Bang』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 소설에 나타난 6.25전쟁 전후 서울과 평양의 도시 이미지
Comparison of the Images of Seoul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s Manifest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 전쟁의 기억과 참전의 악순환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and the Vicious Circle of Entering into Wars
국제.지역연구 |
20 |
2 |
2011 |
정치외교학
【기획논문】 한국전쟁과 군(郡) 단위 지방정치 - 공주.영동.예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ounty Local Politics - Case Studies in Gongju and Yesan -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 한국전쟁과 군(郡) 단위 지방정치 - 공주.영동.예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ounty Local Politics - Case Studies in Gongju and Yesan -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의 대응
The Inchoen Landing Operation and Response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의 대응
The Inchoen Landing Operation and Response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United Nations Command’s Control and Support for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Owen and Jeon Bong-Geon's War Poetry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Owen and Jeon Bong-Geon's War Poetry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소설에 나타난 6.25전쟁 전후 서울과 평양의 도시 이미지
Comparison of the Images of Seoul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s Manifest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국방부 정훈매체 『국방』의 문예면 연구 - 한국전쟁기 정훈문학 연구․2 -
A Study on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2 - Issued on 『Kook Bang』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English Perspectives on Korea -Narratives on Korea in English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연구 |
13 |
2011 |
역사교육
군인 맥아더와 대중 담론의 변화 - 미국 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1903∼1949 -
The Changing Image of Douglas MacArthur in Popular Discourse: The Analysis of Major Newspapers, 1903∼1949
역사와 세계 |
39 |
2011 |
기타역사일반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North Korea’s Propaganda & Agitation Projects in the Occupied Area of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North Korea’s Propaganda & Agitation Projects in the Occupied Area of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손창섭의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주체 형성 과정
A Study of the Formation of Subject in Sohn Chang-seob's boys' novel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창섭의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주체 형성 과정
A Study of the Formation of Subject in Sohn Chang-seob's boys' novel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쟁의 재구성: 기념관 속의 한국 전쟁
Reconstruction of War: The Korean War in the War Memorial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전쟁의 재구성: 기념관 속의 한국 전쟁
Reconstruction of War: The Korean War in the War Memorial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기획논문】 한국전쟁과 군(郡) 단위 지방정치 - 공주.영동.예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ounty Local Politics - Case Studies in Gongju and Yesan -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 한국전쟁과 군(郡) 단위 지방정치 - 공주.영동.예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ounty Local Politics - Case Studies in Gongju and Yesan -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쟁과 군선교
Korean War and Military Mission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 전쟁과 군선교
Korean War and Military Mission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 전쟁과 군선교
Korean War and Military Mission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 전쟁과 군선교
Korean War and Military Mission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Forms of Korean War Memory in the view of point of Transwar-history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로컬리티와 1954년, 대구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A Daegu Boy's Geopolitical Imagination in 1954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또 하나의 조선족 성립사 : 염인호, 『또 하나의 한국전쟁: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에 대한 서평
另一个角度的中国朝鲜族形成史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두 개의 전쟁, 하나의 인식 : 백철의 전후비평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ek Chul's literary criticism after the Korean Wa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Korean War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근대국민국가 형성의 출발점: 자원동원론의 관점에서
The Korean War,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ern National State Formation: in the Perspective of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6 |
2010 |
사회학
한국전쟁, 근대국민국가 형성의 출발점: 자원동원론의 관점에서
The Korean War,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ern National State Formation: in the Perspective of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6 |
2010 |
사회학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의 대응
The Inchoen Landing Operation and Response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의 대응
The Inchoen Landing Operation and Response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손창섭의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주체 형성 과정
A Study of the Formation of Subject in Sohn Chang-seob's boys' novel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창섭의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주체 형성 과정
A Study of the Formation of Subject in Sohn Chang-seob's boys' novel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English Perspectives on Korea -Narratives on Korea in English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연구 |
13 |
2011 |
역사교육
군인 맥아더와 대중 담론의 변화 - 미국 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1903∼1949 -
The Changing Image of Douglas MacArthur in Popular Discourse: The Analysis of Major Newspapers, 1903∼1949
역사와 세계 |
39 |
2011 |
기타역사일반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 전쟁의 기억과 참전의 악순환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and the Vicious Circle of Entering into Wars
국제.지역연구 |
20 |
2 |
2011 |
정치외교학
부산 화교의 가족 분산과 국적의 함의
A Meaning of the Overseas Chinese's Nationality and Their Family Dispersal in Busan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해적, 시민, 그리고 노예의 자기인식 -한국전쟁과 전후일본의 사산된 유산
海賊、市民、奴隷の自己認識 -朝鮮戦争と戦後日本の死産された遺産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냉전기 북한의 중국 인식 ― 한국전쟁 후 중국 방문기를 중심으로
North Korean Perception on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 Forcing on Travel Report of China after the Korean War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하야리아부대 주변 마을 주민들의 역사적 경험과 로컬리티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Locality of the Villagers around Kamp Hialeah
지역과 역사 |
28 |
2011 |
역사학
하야리아부대 주변 마을 주민들의 역사적 경험과 로컬리티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Locality of the Villagers around Kamp Hialeah
지역과 역사 |
28 |
2011 |
역사학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Time in Park, In-hwan's Poems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만주지역 조선인 디아스포라와 한국전쟁
A Study on the Korean War and Korean Diaspora in China Manchuria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PLANET HALLYUWOOD: IMAGING THE KOREAN WAR
Acta Koreana |
14 |
1 |
2011 |
기타인문학
모윤숙의 피난 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Mo Yun-suk and Dogangpa' Writi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의 피난 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Mo Yun-suk and Dogangpa' Writing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시기 북한의 남한지역 토지개혁
A Study on Land Reform in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부산 화교의 가족 분산과 국적의 함의
A Meaning of the Overseas Chinese's Nationality and Their Family Dispersal in Busan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황석영 초기 분단소설, <북망, 멀고도 고적한 곳>, <돌아온 사람> 자세히 읽기
A detailed reading of the Hwang Seok-yeong's earlier division novels, , .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1940~60년대 시대의 ‘불안’과 조지훈의 대응
The anxiety of ages and the response of Cho Ji-Hun during 1940~1960s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오장환과 김수영 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h Jang-whan's poetry and Kim Su-young's poet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시기 북한의 남한지역 토지개혁
A Study on Land Reform in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1940~60년대 시대의 ‘불안’과 조지훈의 대응
The anxiety of ages and the response of Cho Ji-Hun during 1940~1960s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1940-1950년대 여고생의 현실인식과 문예의 특성 고찰― 校誌 『동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f Highschool Girl's in 1940-1950's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校誌) 『Dongduk(同德)』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의 피난 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Mo Yun-suk and Dogangpa' Writi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의 피난 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Mo Yun-suk and Dogangpa' Writing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High-flying Notes from a Korean-American Poet: 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by Suji Kwock Kim
영어영문학 |
57 |
3 |
2011 |
영어와문학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Time in Park, In-hwan's Poems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순태 분단소설 연구
A Study on the Moon Soon-tae's Novels of National Divisi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2장 국가보훈, 정치사상적 논의와 6‧25 전쟁
National Veterans Affairs, Major Political Thoughts on Security, and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한국전쟁 해석 비판: 정신적 보훈의 관점
A Critique of Interpretation of Korean War Describ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A Perspective of Respect for Veterans' Sacrifice
한국보훈논총 |
10 |
4 |
2011 |
기타사회학
북 · 중간 역사적 혈맹 관계 고찰
Analysis and prospects of historically solid allianc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북 · 중간 역사적 혈맹 관계 고찰
Analysis and prospects of historically solid allianc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법-역사적 접근 : ‘국방경비법’을 중심으로
The Approach of Law-History Aspect for the Truth of Civil Massacre : Focused on ‘The Articles for the Government of Korean Constabulary’
아세아연구 |
53 |
4 |
2010 |
지역학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법-역사적 접근 : ‘국방경비법’을 중심으로
The Approach of Law-History Aspect for the Truth of Civil Massacre : Focused on ‘The Articles for the Government of Korean Constabulary’
아세아연구 |
53 |
4 |
2010 |
지역학
전쟁의 재구성: 기념관 속의 한국 전쟁
Reconstruction of War: The Korean War in the War Memorial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전쟁의 재구성: 기념관 속의 한국 전쟁
Reconstruction of War: The Korean War in the War Memorial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제2장 국가보훈, 정치사상적 논의와 6‧25 전쟁
National Veterans Affairs, Major Political Thoughts on Security, and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The Execution of Communist Collaboration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36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The Execution of Communist Collaboration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경향신문>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
Cultural Sec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and Kim, Gwnag-ju's Writing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한국전쟁’ 혹은 ‘분열/분단’ ― 기억의 승인을 둘러싸고
'Chosun War/Korean War' or 'Split/Partition' ― in regard to approval of memory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A study on Feminity in Kang Shinjae's Novel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rpreting in the Peacemaking Proces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Panmunjom 1953)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rpreting in the Peacemaking Proces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Panmunjom 1953)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간 중국의 군비지출과 대북지원
Chinese military spending and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 Korea War
통일인문학 |
52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한국의 전쟁 경험과 폭력
The Violence in the Korean War Experience
민주주의와 인권 |
11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Haunted by History: Heinz Insu Fenkl’s Memories of My Ghost Brother and “Ghostly” Politics in the Shadow of Empire
제국의 그늘에 출몰하는 역사의 유령들: 하인즈 인수 펭클의『내 유령 형의 기억들』과 “유령”의 정치학
미국학 논집 |
44 |
1 |
2012 |
영어와문학
독일 문단에 비친 한국의 이미지
Kulturelle Bilder von Korea in der deutschen Literatur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 문단에 비친 한국의 이미지
Kulturelle Bilder von Korea in der deutschen Literatur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rpreting in the Peacemaking Proces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Panmunjom 1953)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rpreting in the Peacemaking Proces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Panmunjom 1953)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기 토속적 삶의 파괴를 형상화하는 두 경향 ―오영수ㆍ하근찬의 한국전쟁 관련 단편을 중심으로―
The two ways to describe the destruction of the primitive form of life in the Korean war period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전 대구경북지역의 민간인학살사건의 실태와 특징 - 제4대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기록을 중심으로 -
Civilian Massacres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before the Korean War
대구사학 |
102 |
2011 |
역사학
빨치산, 역사의 격랑에 선 사람
Partisan, A man in the tide of history
역사비평 |
94 |
2011 |
역사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상이군인, 국민 만들기
The Disabled Veterans andAnticommunism 'Nation'
중앙사론 |
33 |
2011 |
역사학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활동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
The Propaganda Activities of U.S. Information Service(U.S.I.S.)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신동문 시 연구: 생애의 전환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Shin Dong-Moon's Poetry -Focusing on the turning point of his life-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양상 연구 - 인물(人物)과 연기(演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rth Korea’s Drama Performance around the Korean War - Centering on characters and acting -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양상 연구 - 인물(人物)과 연기(演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rth Korea’s Drama Performance around the Korean War - Centering on characters and acting -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전쟁의 기억 : 전재에서 자연재해로 -6.25전쟁기 회화 작품에 나타난 피난 이미지
The Memory of War : from War Damages to Natural Disaster -The Evacuation Image Portrayed in Korean War Painting
미술이론과 현장 |
13 |
2012 |
미술
1950년대 초 臺灣의 反共과 대륙 反攻計劃
Anti-Communist Policy and a Recapture of Mainland Plan of Taiwan in the 1950s
史叢(사총) |
76 |
2012 |
기타역사일반
해방이후 제조업의 지역적 성장 구조의 변화: 1945-1958
The Change of the Regional Growth Structure in Manufacturing Industry between 1945-1958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해방이후 제조업의 지역적 성장 구조의 변화: 1945-1958
The Change of the Regional Growth Structure in Manufacturing Industry between 1945-1958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中央集権的な財政展開と開発財政の形成及び地方財政制度整備
중앙집권적인 재정전개와 개발재정의 형성 및 지방재정제도의 정비
GRI연구논총 |
12 |
1 |
2010 |
中央集権的な財政展開と開発財政の形成及び地方財政制度整備
중앙집권적인 재정전개와 개발재정의 형성 및 지방재정제도의 정비
GRI연구논총 |
12 |
1 |
2010 |
The Role of India in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2 |
2010 |
지역학
The Role of India in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2 |
2010 |
지역학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A study on Feminity in Kang Shinjae's Novel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경향신문>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
Cultural Sec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and Kim, Gwnag-ju's Writing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War and Justice: Just Cause of the Korean War
Korea Journal |
52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Political Dynamics in the Execution of Suspected Collaborators during the Korean War
Korea Journal |
52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의 한국전 참전 결정과정의 사례분석 -제니스(Janis)의 집단사고(groupthink) 모형을 중심으로-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of China to Korean War -in Terms of Janis Groupthink Model-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한국전 참전 결정과정의 사례분석 -제니스(Janis)의 집단사고(groupthink) 모형을 중심으로-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of China to Korean War -in Terms of Janis Groupthink Model-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시각 문화로서의 한국 전쟁 사진
War Photography during the Korean War as a Visual Culture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시각 문화로서의 한국 전쟁 사진
War Photography during the Korean War as a Visual Culture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History as an Arena of Sino-Korean Conflict and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Asian Perspective |
36 |
2 |
2012 |
정치외교학
Mao Zedong’s Erroneous Decision During the Korean War: China’s Rejection of the UN Cease-fire Resolution in Early 1951
Asian Perspective |
35 |
2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양상 연구 - 인물(人物)과 연기(演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rth Korea’s Drama Performance around the Korean War - Centering on characters and acting -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양상 연구 - 인물(人物)과 연기(演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rth Korea’s Drama Performance around the Korean War - Centering on characters and acting -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시각 문화로서의 한국 전쟁 사진
War Photography during the Korean War as a Visual Culture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시각 문화로서의 한국 전쟁 사진
War Photography during the Korean War as a Visual Culture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전쟁의 기억 : 전재에서 자연재해로 -6.25전쟁기 회화 작품에 나타난 피난 이미지
The Memory of War : from War Damages to Natural Disaster -The Evacuation Image Portrayed in Korean War Painting
미술이론과 현장 |
13 |
2012 |
미술
신동문 시 연구: 생애의 전환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Shin Dong-Moon's Poetry -Focusing on the turning point of his life-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손양원의 생애와 활동
Son Yang-Won's Life and Work in the Post-Liberation Era(1945-1950)
한국기독교와 역사 |
35 |
2011 |
교회사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활동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
The Propaganda Activities of U.S. Information Service(U.S.I.S.)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한국전쟁기간 중국의 군비지출과 대북지원
Chinese military spending and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 Korea War
통일인문학 |
52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한국의 전쟁 경험과 폭력
The Violence in the Korean War Experience
민주주의와 인권 |
11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6.25전쟁과 중국교회 — 조자신(趙紫宸)을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hinese Church ― Focused on T. C. Chao ―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조선/한국전쟁’ 혹은 ‘분열/분단’ ― 기억의 승인을 둘러싸고
'Chosun War/Korean War' or 'Split/Partition' ― in regard to approval of memory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방송극작가 한운사의 ‘통일연습시리즈’ 고찰1 - ‘반전(反戰)드라마’를 중심으로 -
Examination on ‘Unification Practice Series’ by Un-sa Han, a TV playwright 1 - Focusing on ‘anti-war drama’ -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송극작가 한운사의 ‘통일연습시리즈’ 고찰1 - ‘반전(反戰)드라마’를 중심으로 -
Examination on ‘Unification Practice Series’ by Un-sa Han, a TV playwright 1 - Focusing on ‘anti-war drama’ -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제1장 6·25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for Origins and Reason of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1장 6·25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for Origins and Reason of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국전쟁·전후복구와 자원동원 -국방분야 인적자원추출제도의 형성과 제도화-
Korean War, Restoration, and Resource Mobilization - Formul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esource Extraction System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8 |
2 |
2011 |
행정학
전남지역의 한국전쟁과 민중의 고통- ‘정당하지 않은 적’과 경계 짓기
The Korean War of Jeonnam Region and Suffering of People - ‘Non-Legitimate Enemy’ and Demarcation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2 |
2 |
2011 |
사회학
한국전쟁기 소련의 유엔 안보리 불출석과‘드러나지 않은’ 개입
Soviet Union’s Absence from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 War and Undisclosed Intervention
중소연구 |
34 |
3 |
2010 |
사회과학
한국전쟁기 소련의 유엔 안보리 불출석과‘드러나지 않은’ 개입
Soviet Union’s Absence from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 War and Undisclosed Intervention
중소연구 |
34 |
3 |
2010 |
사회과학
텔레비전에 나타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변화 : KBS 한국전쟁 기념 다큐를 중심으로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elevision : An Analysis of KBS Anniversary Documentaries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텔레비전에 나타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변화 : KBS 한국전쟁 기념 다큐를 중심으로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elevision : An Analysis of KBS Anniversary Documentaries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한국전쟁시기 좌익에 의한 대량학살 연구
A Study on Massacres by Communists during Korean War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과 국가기구의 확대: 이승만 정부의 중앙정부기구개편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Expansion of State Apparatus: Focused on ‘Rhee Syngm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20 |
2 |
2011 |
행정학
남북한 교과서의 ‘한국전쟁’ 관련 내용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Descriptions of the “Korean War” in North and South Korean Textbooks
북한학연구 |
7 |
2 |
2011 |
북한
한국전쟁 당시 미국잡지에 실린 한국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Images in Popular US Magazines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군사학논집 |
68 |
2 |
2012 |
군사이론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국전쟁을 주제로 한 中韓 전쟁문학 비교연구
Korean War and the Literature of China and South Korea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전후 시기, 남북한의 냉전이데올로기 영화에 재현된 근대화담론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ussion of Modernization around the Korean War in Two Koreas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诱惑与情愿”抑或“无奈与沉默”* 美国朝鲜战争小说中被奴役化的韩国女性形象
“Seductive and Willing” or “Forced and Unvoiced” - On the Images of Enslaved Korean Women in American Korean War Novels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국민보도연맹과 예비검속 -제노사이드(Genocide)의 관점에서-
The Massacre of “National Guidance Alliance” as a Genocide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국민보도연맹과 예비검속 -제노사이드(Genocide)의 관점에서-
The Massacre of “National Guidance Alliance” as a Genocide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한반도 분단과 한국전쟁의 국제정치이론적 의미: 현상타파/현상유지 국가 논의의 재조명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siting Revisionist and Status-quo Power Debate
국제정치논총 |
52 |
3 |
2012 |
정치외교학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ism, (im)possiblity and Jainichi Korean as a state of Emergency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포로소설과 젠더, 모성주의, 국가안보
Gender, Momism and National Security in American POW Fictions of the Korean War
영어영문학 |
58 |
2 |
2012 |
영어와문학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
The Korean War and the US Global Strateg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
The Korean War and the US Global Strateg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기 마산의 문학매체와 '낙타'
The Literary media and Nakta of Masan during Korea war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종결의 부정의
The Injustices in the Settlement of the Korean War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 종결의 부정의
The Injustices in the Settlement of the Korean War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Nak-Dong River and Korean War, Protrusion of buried Reality: Interpreting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 taek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수복지역 양양 주민들의 한국전쟁 경험-어느 한약방 주인의 생애와 선택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of the recovered area of Yangyang: The life and the choice of a oriental doctor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수복지역 양양 주민들의 한국전쟁 경험-어느 한약방 주인의 생애와 선택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of the recovered area of Yangyang: The life and the choice of a oriental doctor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특집 : 한국전쟁기 미국의 북한 점령정책과 통치권 문제-평양과 양양 지역의 행정조직 구성 비교-
역사와 현실 |
78 |
2010 |
역사학
특집 : 한국전쟁기 미국의 북한 점령정책과 통치권 문제-평양과 양양 지역의 행정조직 구성 비교-
역사와 현실 |
|
78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미군의 공산포로 '미국화 교육'
역사와 현실 |
78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미군의 공산포로 '미국화 교육'
역사와 현실 |
|
78 |
2010 |
역사학
연구동향 : 한국전쟁 발발 60년, 사회과학에서 인문학으로
역사와 현실 |
78 |
2010 |
역사학
연구동향 : 한국전쟁 발발 60년, 사회과학에서 인문학으로
역사와 현실 |
|
78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Memories and Writing of Korean War - Focusing on Experiences in Kojedo prisoner of War Camp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반미대중운동과 아시아 냉전
The Chinese Anti-American Mass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Asian Cold War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실향민의식과 현실인식: 박태순론
The consciousness of displaced person and the perception of reality - The discussion of Park, Tae-Soon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제주지역 사회의 변화 - 4.3사건과 전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Social Shange in Cheju Area - Laying Stress on Relation of the 4․3 Incident and War -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제주지역 사회의 변화 - 4.3사건과 전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Social Shange in Cheju Area - Laying Stress on Relation of the 4․3 Incident and War -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6∙25전쟁과 기억의 정치: ‘강변사건’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Politics of Memory: Focusing on the Case of Kangbyon Incident
한국문화인류학 |
44 |
1 |
2011 |
역사학
경상도 성주지역의 한국전쟁 경험 : 민간인 학살과 인민군의 점령정책
The Social Changes and Civilian Massacres in Seongju, Gyeongsangbuk-do during the Korean War
대구사학 |
107 |
2012 |
역사학
한국전쟁 이후 ‘收復地區’에서의 농지개혁법 적용 과정과 그 의미
The Process and Meaning of Application of the Farmland Reform Act to the Restored Area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서기원 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
On the Male Identification and its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서기원 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
On the Male Identification and its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New Religions -Focusing on the Unificationism-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육감에서 정책으로 : 한국전쟁기 미 공군 전폭기들의 민간지역 폭격의 구조
역사와 현실 |
77 |
2010 |
역사학
육감에서 정책으로 : 한국전쟁기 미 공군 전폭기들의 민간지역 폭격의 구조
역사와 현실 |
|
7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여성문인들의 반공서사 연구 -모윤숙과 최정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Women Writers’ Anti-Communism Narrative during the Korean War -with Mo Yun Suk and Choi Jong Hee as the central figure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여성문인들의 반공서사 연구 -모윤숙과 최정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Women Writers’ Anti-Communism Narrative during the Korean War -with Mo Yun Suk and Choi Jong Hee as the central figure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후소설에 나타난 가족 형상화와 그 의미
Family Configuration and the Meaning of the 1950s Postwar Novel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후소설에 나타난 가족 형상화와 그 의미
Family Configuration and the Meaning of the 1950s Postwar Novel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소련, 미국, 유럽 각국의 손익계산서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 Balance Sheet of the USSR, the USA, and European Countries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소련, 미국, 유럽 각국의 손익계산서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 Balance Sheet of the USSR, the USA, and European Countries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The Execution of Communist Collaboration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36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The Execution of Communist Collaboration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직후 인천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희생과 ‘조선인민군’의 전시동원 정책
Massacre of Members of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국민보도연맹) and Mobilization Policy of North Korean People’s Army(조선인민군) in Incheon for Korean Wartime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직후 인천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희생과 ‘조선인민군’의 전시동원 정책
Massacre of Members of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국민보도연맹) and Mobilization Policy of North Korean People’s Army(조선인민군) in Incheon for Korean Wartime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관련 외국문학 작품의 의미와 그 이면 - 폴란드, 터키, 콜롬비아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foreign literary works' meaning and the inside related with the Korean war - Focus on the Poland, Turkish, Columbia's works -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반미대중운동과 아시아 냉전
The Chinese Anti-American Mass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Asian Cold War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유럽과 동북아 안보에 미친 한국전쟁의 영향: 냉전의 평화와 갈등의 비대칭 구도 정립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an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GRI연구논총 |
12 |
3 |
2010 |
유럽과 동북아 안보에 미친 한국전쟁의 영향: 냉전의 평화와 갈등의 비대칭 구도 정립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an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GRI연구논총 |
12 |
3 |
2010 |
'6.25전쟁'의 勃發原因에 관한 小考
A Segment Study on the Cause of the Korean War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의 유사성에 관한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f Similarities between Korean War and Spanish Civil War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한국전쟁기 경북 성주군의 부역자 처벌과 피학살자유족회 활동
Collaborators punishment in Seongju, Gyeongsangbuk-do during Korean War and Surviving Family Group Activities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
The Role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
The Role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New Religions -Focusing on the Unificationism-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한국전쟁 이후 ‘收復地區’에서의 농지개혁법 적용 과정과 그 의미
The Process and Meaning of Application of the Farmland Reform Act to the Restored Area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
The Role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
The Role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전쟁을 다룬 터키 영화 - 「북극성」과 「한국의 터키 총검」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중심으로
Turkish Film on Korean War
세계문학비교연구 |
30 |
2010 |
문학
한국전쟁을 다룬 터키 영화 - 「북극성」과 「한국의 터키 총검」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중심으로
Turkish Film on Korean War
세계문학비교연구 |
|
30 |
2010 |
문학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A study of postwar children's fiction
한국아동문학연구 |
22 |
2012 |
아동문학
전쟁 기억의 공간화와 구조의 분화: 전쟁박물관을 중심으로
Creation of spaces representing memories of war and their division: Focusing on the war museum
시민사회와 NGO |
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국민보도연맹과 예비검속 -제노사이드(Genocide)의 관점에서-
The Massacre of “National Guidance Alliance” as a Genocide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국민보도연맹과 예비검속 -제노사이드(Genocide)의 관점에서-
The Massacre of “National Guidance Alliance” as a Genocide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러시아 대학의 역사학 교재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전쟁 인식
The Russian View on the Korean-War in School and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미국의 UN참여법과 미군의 6.25전쟁 참전의 합법성문제
Review on the Legality of U.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미국의 UN참여법과 미군의 6.25전쟁 참전의 합법성문제
Review on the Legality of U.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최근 한국전쟁 연구동향 ―2005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ecent Studies on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56 |
2011 |
역사학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한국전쟁·전후복구와 자원동원 -국방분야 인적자원추출제도의 형성과 제도화-
Korean War, Restoration, and Resource Mobilization - Formul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esource Extraction System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8 |
2 |
2011 |
행정학
The Korean Decision: A Cognitive Process Model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
16 |
2 |
2011 |
외교/안보/통일
수복지역 양양 주민들의 한국전쟁 경험-어느 한약방 주인의 생애와 선택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of the recovered area of Yangyang: The life and the choice of a oriental doctor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수복지역 양양 주민들의 한국전쟁 경험-어느 한약방 주인의 생애와 선택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of the recovered area of Yangyang: The life and the choice of a oriental doctor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 관련 외국문학 작품의 의미와 그 이면 - 폴란드, 터키, 콜롬비아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foreign literary works' meaning and the inside related with the Korean war - Focus on the Poland, Turkish, Columbia's works -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국가기구의 확대: 이승만 정부의 중앙정부기구개편을 중심으로
Korean War and Expansion of State Apparatus: Focused on ‘Rhee Syngm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20 |
2 |
2011 |
행정학
'6.25전쟁'의 勃發原因에 관한 小考
A Segment Study on the Cause of the Korean War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전쟁포로들의 저항과 반공오리엔탈리즘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 내 사건들을 중심으로 ―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of war and the Anti-communist Orientalism - Focused on the incidents in the UNC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36 |
2010 |
역사학
전쟁포로들의 저항과 반공오리엔탈리즘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 내 사건들을 중심으로 ―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of war and the Anti-communist Orientalism - Focused on the incidents in the UNC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텔레비전에 나타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변화 : KBS 한국전쟁 기념 다큐를 중심으로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elevision : An Analysis of KBS Anniversary Documentaries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텔레비전에 나타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변화 : KBS 한국전쟁 기념 다큐를 중심으로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elevision : An Analysis of KBS Anniversary Documentaries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 직후 인천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희생과 ‘조선인민군’의 전시동원 정책
Massacre of Members of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국민보도연맹) and Mobilization Policy of North Korean People’s Army(조선인민군) in Incheon for Korean Wartime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직후 인천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희생과 ‘조선인민군’의 전시동원 정책
Massacre of Members of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국민보도연맹) and Mobilization Policy of North Korean People’s Army(조선인민군) in Incheon for Korean Wartime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제주지역 사회의 변화 - 4.3사건과 전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Social Shange in Cheju Area - Laying Stress on Relation of the 4․3 Incident and War -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제주지역 사회의 변화 - 4.3사건과 전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Social Shange in Cheju Area - Laying Stress on Relation of the 4․3 Incident and War -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The Korean War and Women: those who stood on the margi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The Korean War and Women: those who stood on the margi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소련, 미국, 유럽 각국의 손익계산서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 Balance Sheet of the USSR, the USA, and European Countries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소련, 미국, 유럽 각국의 손익계산서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Europe: Balance Sheet of the USSR, the USA, and European Countries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ism, (im)possiblity and Jainichi Korean as a state of Emergency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포로소설과 젠더, 모성주의, 국가안보
Gender, Momism and National Security in American POW Fictions of the Korean War
영어영문학 |
58 |
2 |
2012 |
영어와문학
A.S.C 동영상 속의 6․25전쟁과 국군 - 미 육군통신대 촬영,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동영상 자료를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Korean Army in the A.S.C Video Data: From The Collection of the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at Hallym University
군사연구 |
131 |
2011 |
역사학
6 . 25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재고찰 - 오인, 오식의 문제를 통한 접근 -
Re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Approach from Problems of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6 . 25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재고찰 - 오인, 오식의 문제를 통한 접근 -
Re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Approach from Problems of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의 유사성에 관한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f Similarities between Korean War and Spanish Civil War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6ㆍ25전쟁과 애도의 문제 -이호철의 「나상」과 황순원의 「비바리」를 대상으로
The Korean War and A Matter of Mourning -On Lee, Ho-cheol's 「Na-Sang(A Naked Image)」 and Hwang, Sun-won's 「Bibary(A Woman Diver)」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현대 러시아의 한국전쟁 관련 연구사적 검토
Historiography of Korean war(1950-1953) in Russi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러시아의 한국전쟁 관련 연구사적 검토
Historiography of Korean war(1950-1953) in Russi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6.25 전쟁과 한국군의 국방안보태세 발전에 관한 소고
The Study on Korean War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Security Preparedness of R.O.K. Army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6.25 전쟁과 한국군의 국방안보태세 발전에 관한 소고
The Study on Korean War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Security Preparedness of R.O.K. Army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전쟁을 주제로 한 中韓 전쟁문학 비교연구
Korean War and the Literature of China and South Korea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후소설에 나타난 가족 형상화와 그 의미
Family Configuration and the Meaning of the 1950s Postwar Novel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후소설에 나타난 가족 형상화와 그 의미
Family Configuration and the Meaning of the 1950s Postwar Novel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Nak-Dong River and Korean War, Protrusion of buried Reality: Interpreting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 taek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의 체험과 전후문학의 동시적 질서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Simultane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의 체험과 전후문학의 동시적 질서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Simultane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서기원 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
On the Male Identification and its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서기원 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
On the Male Identification and its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경북 성주군의 부역자 처벌과 피학살자유족회 활동
Collaborators punishment in Seongju, Gyeongsangbuk-do during Korean War and Surviving Family Group Activities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기 마산의 문학매체와 '낙타'
The Literary media and Nakta of Masan during Korea war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와 한국인/아시아인의 재현
Hollywood Korean War Films and Representations of Koreans/Asians
문학과 영상 |
12 |
4 |
2011 |
영상문학
'6.25전쟁'의 勃發原因에 관한 小考
A Segment Study on the Cause of the Korean War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6.25 전쟁과 한국군의 국방안보태세 발전에 관한 소고
The Study on Korean War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Security Preparedness of R.O.K. Army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6.25 전쟁과 한국군의 국방안보태세 발전에 관한 소고
The Study on Korean War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Security Preparedness of R.O.K. Army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The Causes of the Korean War(1950-1953)
한국전쟁의 기원(1950-1953)
국가안보와 전략 |
10 |
3 |
2010 |
정치외교학
The Causes of the Korean War(1950-1953)
한국전쟁의 기원(1950-1953)
국가안보와 전략 |
10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 사진에 나타난 여성
Women in Korean War Photography
언론과학연구 |
11 |
2 |
2011 |
신문방송학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와 한국인/아시아인의 재현
Hollywood Korean War Films and Representations of Koreans/Asians
문학과 영상 |
12 |
4 |
2011 |
영상문학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6·25 전쟁 시기, 국가주의 시와 중도의 지형
At the time 6·25 War, the Nationalism's potery and the neutral topography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남지역의 한국전쟁과 민중의 고통- ‘정당하지 않은 적’과 경계 짓기
The Korean War of Jeonnam Region and Suffering of People - ‘Non-Legitimate Enemy’ and Demarcation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2 |
2 |
2011 |
사회학
A.S.C 동영상 속의 6․25전쟁과 국군 - 미 육군통신대 촬영,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동영상 자료를 중심으로 -
Korean War and Korean Army in the A.S.C Video Data: From The Collection of the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at Hallym University
군사연구 |
131 |
2011 |
역사학
6 . 25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재고찰 - 오인, 오식의 문제를 통한 접근 -
Re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Approach from Problems of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6 . 25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재고찰 - 오인, 오식의 문제를 통한 접근 -
Re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Approach from Problems of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과 중국교회 — 조자신(趙紫宸)을 중심으로 —
The Korean War and Chinese Church ― Focused on T. C. Chao ―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6.25전쟁시 경비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의 역할
The Role of Officers from Korean Military Academy during the Korean War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회화자료를 통해 본 6 . 25전쟁
Understanding the Korean War though Visual Arts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회화자료를 통해 본 6 . 25전쟁
Understanding the Korean War though Visual Arts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6·25전쟁기 미술인 조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s’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6·25전쟁기 미술인 조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s’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한국전쟁 사진에 나타난 여성
Women in Korean War Photography
언론과학연구 |
11 |
2 |
2011 |
신문방송학
한국전쟁 당시 미국잡지에 실린 한국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Images in Popular US Magazines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군사학논집 |
68 |
2 |
2012 |
군사이론
6·25전쟁기 미술인 조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s’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6·25전쟁기 미술인 조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s’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6ㆍ25전쟁과 애도의 문제 -이호철의 「나상」과 황순원의 「비바리」를 대상으로
The Korean War and A Matter of Mourning -On Lee, Ho-cheol's 「Na-Sang(A Naked Image)」 and Hwang, Sun-won's 「Bibary(A Woman Diver)」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6·25 전쟁기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 과정
A Study of China’s Road to the Korean War
북한학보 |
36 |
2 |
2011 |
북한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핵억지 형성기 최초의 전쟁으로서 6ㆍ25전쟁과 미국의 핵전략
The Korean War and U.S. Nuclear Strategy in the Formative Years of Nuclear Deterrence
한국과 국제정치 |
27 |
2 |
2011 |
정치외교학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2장 6‧25전쟁의 기본성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Characters and Meanings of the 6‧25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2장 6‧25전쟁의 기본성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Characters and Meanings of the 6‧25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
The Korean War and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
The Korean War and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6․25전쟁시 날씨와 전투사례와의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and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
해방이후 제조업의 지역적 성장 구조의 변화: 1945-1958
The Change of the Regional Growth Structure in Manufacturing Industry between 1945-1958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해방이후 제조업의 지역적 성장 구조의 변화: 1945-1958
The Change of the Regional Growth Structure in Manufacturing Industry between 1945-1958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제1장 6·25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for Origins and Reason of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1장 6·25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for Origins and Reason of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초기 미 공군의 북한지역 공중폭격
USAF’s bombing of North Kore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6·25전쟁기 한국공군의 성장과 미 공군 제6146부대의 지원
A Study on the Growth of ROK Air Force and the US Air Force 6146th Unit's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군사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기 한국공군의 성장과 미 공군 제6146부대의 지원
A Study on the Growth of ROK Air Force and the US Air Force 6146th Unit's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
The Korean War and the US Global Strateg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
The Korean War and the US Global Strateg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시기 좌익에 의한 대량학살 연구
A Study on Massacres by Communists during Korean War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6.25전쟁 기간 중 미국의 대한 군사정책이 한국해군력에 미친 영향 -작전·전술교리 및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Policies for the Republic of Korea upon the ROK Naval Power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the Operations, Tactics Doctrine and Professional Manpower -
군사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 기간 중 미국의 대한 군사정책이 한국해군력에 미친 영향 -작전·전술교리 및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Policies for the Republic of Korea upon the ROK Naval Power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the Operations, Tactics Doctrine and Professional Manpower -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