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발탄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229

한자 : 誤發彈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한국전쟁 () [ 韓國戰爭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문학 () [ 韓國文學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오발탄 (영화) [ 誤發彈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e01-01 문학장르 /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비극 () [ 悲劇 ]

4․19 공간 경험과 거리의 모더니티

Spatial Experience of April 19 Revolution And Modernity on the Streets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 공간 경험과 거리의 모더니티

Spatial Experience of April 19 Revolution And Modernity on the Streets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와 소설의 비교 분석을 통한 서사 교육의 목표 탐색-「오발탄」을 중심으로

The Quest for the Goals of Narrative Educ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 Movie and a Novel-Focusing on 「Obaltan」-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물 화편화 방식을 통해 본 소설의 영상화 일고찰 -<오발탄>, <장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ization of Novel through Character Framing Methods -based on ,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물 화편화 방식을 통해 본 소설의 영상화 일고찰 -<오발탄>, <장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ization of Novel through Character Framing Methods -based on ,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