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G080101 예술체육 > 연극 > 연극일반 > 연극이론

클래스 : 문학장르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99

한자 : 悲劇
영어 : tragedy
독일어 : Tragödie
프랑스어 : tragédie

e01-01 문학장르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희극 () [ 喜劇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그리스 비극 [ --悲劇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四代 悲劇 ]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고전 비극 () [ 古典悲劇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영웅 비극 [ 英雄悲劇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헤로도토스 (BC484e-BC425e) [Herodotos]

hasIssue (이슈/주제)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오발탄 (소설) [ 誤發彈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파국 [ 破局 ]

RT_X (관련어►)

관련 장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비극 소설 () [ 悲劇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독일인 힝케만 [ 獨逸人--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필로타스 [Philotas]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유디트 [Judith]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마리아 막달레나 [Maria Magdalena]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Nature and Human appeared animations which Miyajaki Hayao director and Takahata Isao director produced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Nature and Human appeared animations which Miyajaki Hayao director and Takahata Isao director produced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Sui generis-플라톤의 철학적 드라마

Sui generis-das philosophische Drama Platons

서양고전학연구 | 45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섬, 혹은 낯선 공간 연구

A Study of Island or Strange Place in Shakespeare

Shakespeare Review | 46 | 2 | 2010 | 영어와문학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섬, 혹은 낯선 공간 연구

A Study of Island or Strange Place in Shakespeare

Shakespeare Review | 46 | 2 | 2010 | 영어와문학

「鄭平九傳」 硏究

The biography of Jung Pyeong-gu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웃음의 문화 형식의 한 가지 사례 -검은 담즙에서 배양된 웃음, 냉소 -

An Example of the Cultural Form of Laugh -The Laugh cultured in the Melancholy, the Sne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웃음의 문화 형식의 한 가지 사례 -검은 담즙에서 배양된 웃음, 냉소 -

An Example of the Cultural Form of Laugh -The Laugh cultured in the Melancholy, the Sneer-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The Context of Naturalism in Kim Hoon's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The Context of Naturalism in Kim Hoon's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억, 상상, 이성의 비극: 똘스또이의 『악마』를 중심으로

The tradedy of Memory, Imagination and Reason in the L. Tolstoy's novel 『Devil』

노어노문학 | 24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예이츠와 니체−아폴로와 디오니소스의 긍정

Yeats and Nietzsche: Affirmation of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 근현대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문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상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모티프와 글쓰기 방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hology of Korean Modern Novels and Literary Complication

영주어문 | 20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 근현대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문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상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모티프와 글쓰기 방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hology of Korean Modern Novels and Literary Complication

영주어문 | 20 | | 2010 | 기타국문학

비극적 삶에 대한 현존재분석과 철학상담 ― 엘렌 베스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

Daseinsanalysis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for a tragic life

철학논집 | 26 | 2011 | 철학

라신의 『이피게네이아』와 수사학의 문채 ‘구체성’

L’Iphigénie de Racine et la figure d’hypotypose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라신의 『이피게네이아』와 수사학의 문채 ‘구체성’

L’Iphigénie de Racine et la figure d’hypotypose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헤벨의 『유디트』에 나타난 물화의 문제와 인간의 비극

Die Problematik der Verdinglichung und die Tragödie des Menschen in Fr. Hebbels 『Judith』

독일언어문학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헤벨의 『유디트』에 나타난 물화의 문제와 인간의 비극

Die Problematik der Verdinglichung und die Tragödie des Menschen in Fr. Hebbels 『Judith』

독일언어문학 |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니체, 루카치, 하이데거와 언어

Sprache als Thema bei Nietzsche, Lukács, und Heidegger

독어교육 | 51 | 51 | 2011 | 독일어와문학

파이드라 신화에 대한 로베르 가르니에(Robert Garnier)의 재해석

Le Mythe de Phèdre revisité par Robert Garnier

프랑스 문화 연구 | 23 | 2011 | 프랑스문화학

플라토노프의 『예피판의 수문』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관

The Tragic Image of Man in Platonov's “Epifan Locks”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플라토노프의 『예피판의 수문』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관

The Tragic Image of Man in Platonov's “Epifan Locks”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고티에의『제따뚜라 Jettatura』: 새로운 환상소설의 시도

Jettatura de Théophile Gautier : essai pour un nouveau récit fantastique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고티에의『제따뚜라 Jettatura』: 새로운 환상소설의 시도

Jettatura de Théophile Gautier : essai pour un nouveau récit fantastique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에우리피데스의『트로이의 여인들』에 나타난 미학과 정치학

Aesthetics and Politics in Euripides' The Trojan Women

영미어문학 | 100 | 2011 | 영어와문학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의 비극성과 그 미학적 기제 − 낭만성과 비분강개의 비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gic characters and Its Aesthetic Frame in Yiseng-guijang-jeon of Geumoh-sinhwa - Centering on romanticism and tragic of sorrowful indignatio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남근지배: 고대 아테네문화의 자기파멸적 미학

Phallocracy: Aesthetics of Self-Destruction in the Ancient Athens

영미어문학 | 99 | 2011 | 영어와문학

미메시스에서 스토리로 - 형식주의적 이론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Von Mimesis zu Mythos ― Die Poetik des Aristoteles als formalistische Theorie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미시마 유키오「서커스(サーカス)」론-비극이 재현되는 공간-

A study of Mishima Yukio's Circus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하길종 영화《바보들의 행진》에 나타난 니힐리즘과 비극성

The Nihilism and Tragic Nature Appeared in the Ha Gil-Jong’s Movie《The March of Fool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니체와 야누스적 근대

Nietzsche and the Janus-Faced Modernity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바로크 비애극과 알레고리로서의 이미지

Baroque Trauerspiel and Image as Allegory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Gaiety in W. B. Yeats’s “Lapis Lazuli”

예이츠의 “청금석”에 나타난 기쁨의 의미에 대한 탐구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Das Sein des Dionysischen bei Sokrates und Plat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류드밀라 뻬뚜르셉스까야의 「아이」, 「지나의 선택」 고찰

A Study on the Short Novel of L. Petrushevskaya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류드밀라 뻬뚜르셉스까야의 「아이」, 「지나의 선택」 고찰

A Study on the Short Novel of L. Petrushevskaya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숭고로서의 비극과 윤리 ― 쇼펜하우어를 중심으로

Die Tragödie als das Erhabene und ihre ethische Bedeutung bei Schopenhauer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숭고로서의 비극과 윤리 ― 쇼펜하우어를 중심으로

Die Tragödie als das Erhabene und ihre ethische Bedeutung bei Schopenhauer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아름다운 인간’ 므이시낀 공작의 비극

Tragedy of Prince Myshkin 'Beautiful human'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아름다운 인간’ 므이시낀 공작의 비극

Tragedy of Prince Myshkin 'Beautiful human'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비판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수용 문제-

Catharsis chez Aristote -Recherche critique sur interprétation classique et réception de catharsis par les Coréens-

연극교육연구 | 1 | 18 | 2011 | 연극교육

비극으로서의 「욥기」 다시 읽기 —욥의 고난과 신의 자유를 중심으로—

Rereading of Book of Job as a Tragedy: With Focus on Job’s Suffering and God’s Limitless Freedom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2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의 비극성 - 1930~1940년대를 중심으로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의 비극성 - 1930~1940년대를 중심으로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การศึกษาบทละครเรื่องเงาะป่า โดยใช้ทฤษฎีละครโศกนาฏกรรมของอริสโตเติล

A Study of Ngopa by Using Aristotle’s Theory of Tragedy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1 | 2010 | 지역학

การศึกษาบทละครเรื่องเงาะป่า โดยใช้ทฤษฎีละครโศกนาฏกรรมของอริสโตเติล

A Study of Ngopa by Using Aristotle’s Theory of Tragedy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1 | 2010 | 지역학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의 비극론 비교

The Comparison of Aristotle's and Hegel's Theory of Tragedy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비극과 웨스턴에서의 사적 복수와 사법권: 『오레스테이아』와 <황야의 결투>를 중심으로

Private Revenge and Judical Power in Greek Tragedy and Westerns: Focusing on Oresteia and My Darling Clementine

문학과 영상 | 13 | 2 | 2012 | 영상문학

한국애정비극서사의 계보와 미학적 특성

he Pedigree of Korean love tragic novels and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토마스 하디의『테스』와 비극의 해석학

T. Hardy’s Tess and Tragic Hermeneut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토마스 하디의『테스』와 비극의 해석학

T. Hardy’s Tess and Tragic Hermeneut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예나 초기 헤겔의 '비극적 사유'

Das tragische Denken bei Hegel in der früheren Jenaer Zeit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예나 초기 헤겔의 '비극적 사유'

Das tragische Denken bei Hegel in der früheren Jenaer Zeit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