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Bupyeong Locality and Migran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45∼1960’s-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Bupyeong Locality and Migran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45∼1960’s-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기독교 사회복지에서 평신도의 역할 - 종교개혁시대의 자선기관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the laity in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 Focused on the charity of the period of Protestant Reformation-
신학과 실천 |
27 |
2011 |
기독교신학
16세기 일기 자료 『瑣尾錄』연구 - 저자 吳希文의 피난기 생활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Oh Hui-mun's personal journal Swaemirok - with a focus on his life as a refugee -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Living in Flight: Civilian Displacement, Suffering, and Relief during the Korean War, 1945~1953
도주하는 삶: 1945~1953, 한국 전쟁속 민간인 이동, 고통, 그리고 경감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