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502

한자 : 朝光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무성격자 () [ 無性格者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날개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 창작물명 창작물명

봄봄

hasComponent (구성요소)

 

 

사랑 손님과 어머니

hasComponent (구성요소)

 

 

파초

hasComponent (구성요소)

 

 

푸른 하늘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동백꽃 [ 冬栢-- ]

R1:개념적

RT (관련어)

 

 

조광사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Allegory of The Beautiful Daw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조광』에 대한 서지적 고찰 : 종간·복간·중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A Bibliographic Study on Jogwang : Focusing on cessation of publication, revived publication and reprinting a edition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잡지 [조광]을 통해 본 ‘광고’의 위상 변화 -광고는 어떻게 ‘지(知)’가 되었나

The status transition of Ads according to magazine Jogwang - How did the ‘Ad’ become a useful commmodity?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How To Study Jogwang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How To Study Jogwang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